적응적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하프톤 영상의 경계선 개선

Edge Enhancement of Halftone Image using Adaptive Error Diffusion Method

  • 김상철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진성일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Kim, Sang-Chul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ien, Sung-Il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3.09
  • 발행 : 2011.11.25

초록

제한된 계조를 사용하는 영상장치들은 연속계조 영상과 시각적으로 유사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하프토닝(halftoning) 방법을 사용한다. 다양한 하프토닝 방법 중, 오차 확산법은 짧은 계산시간과 좋은 화질의 하프톤 영상(halftone image) 획득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인접 픽셀에 오차를 확산하는 과정에서 경계선을 흩트리며, 이로 인해 경계선이 약화 되고, 영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Floyd-Steinberg 오차확산법의 필터 가중치를 기반으로 처리 픽셀의 오차와 인접픽셀의 경계선 정보를 고려하여 오차 필터를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이 방법은 경계선 강화를 위한 기존 방법들과 비교해 처리절차가 간단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프로세스 자원을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방법은 하프톤 영상의 경계선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객관적인 화질 평가를 위해 경계 상관도와 국부 평균 일치도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과 기존방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A halftoning method is used to obtain a binary image visually similar to a continuous gray-level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s employing the limited number of gray-levels. As a halftoning method, the error diffusion method is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of its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good image quality. However, this method weakens the edge in the process of error diffusion to the neighboring pixels. In this case, degradation of the edge quality and damage of the vivid image is expec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determines the adaptive error filter considering the error information of the present pixel and edge distribution of the neighbor pixel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enhancing edges,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relatively a few process resources because of its simple procedure, still considerably improving the edges in the halftone image. To evaluate the objective image qualit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in terms of the edge correlation and the local average accord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R. Floyd and L. Steinberg, "Adaptive algorithm for spatial grayscale," in Proc. Soc. Image Display vol.17, 1976.
  2. J. F. Javis, C. N. Judice, and W. H. Ninke, "A survey of techniques for the display of continuous-tone pictures on bilevel displays," in Proc Comp. Graph. Image. vol.5, pp.13-40, 1976. https://doi.org/10.1016/S0146-664X(76)80003-2
  3. X. Li, "Edge-direct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vol. 13, no.11, Nov 2006.
  4. K. L. Chung, S. C. Pei, Y. L. Pan, W. L. Hsu, Y. H. Huang, W. N. Yang, and C. H. Chen, "A gradient-based adaptive error diffusion method with edge enhancement," Journal of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387 no.3, pp.1591-1601, 2011.
  5. C. Y. Su and Y. L. Sie, "Edge-adaptive error diffusion using chaotic threshold modulation," in Proc, IEEE int. Conf. Circuits and Systems, pp. 718-721, 2009.
  6. 곽내정, 안재형, "에지 강조 정보를 이용한 오차확산 해프토닝",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 42권 3호, 107-114쪽, 2005년.
  7. T. H. Kang, T.S. Lee, S.Y. Ohn, and B. W. Hwang, "A Noverl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in Proc 7th Digital Image Comput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539-548,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