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palling of 100 MPa HSC Column Mixed Fiber-Cocktail

Fiber-Cocktail 섬유를 혼입한 100 MPa 고강도 콘크리트의 단면크기에 따른 폭렬 및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Received : 2011.08.05
  • Accepted : 2011.10.07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Along the fire resisting capacity of high strength concrete has been brought up as a social issue, and the Ministry of Land also had notified the control standard about it, the researches for improving the fire resisting capacity have been considerably activated these day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esearch for developing a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s the fiber cocktail, which is a hybrid of polypropylene fiber as organic matter, and steel fiber. As we analyzed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part during the fire test with 100 MPa high strength concret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lower temperature comes out with the larger cross section, and the $600{\times}600mm$, $800{\times}800mm$ cross sectioned can secure the fire resistance capability, so the $600{\times}600mm$ is deducted as the optimal size if we consider the double economic feasibility. As well, among them the best qualified $600{\times}600mm$ shapes, the fiber cocktail hybrid of $1.5kg/m^3$ PP fiber and $40kg/m^3$ of steel, comes out the best ratio.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국토해양부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관리기준이 고시되면서 국내에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질 섬유인 폴리프로필렌 섬유(PP섬유)와 강섬유를 하이브리드한 Fiber Cocktail를 혼입한 고강도 내화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00 MPa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실험을 실시하여 최적단면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철근온도를 분석한 결과, 단면이 커질수록 철근온도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600{\times}600mm$, $800{\times}800mm$ 단면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600{\times}600mm$ 단면이 최적단면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600{\times}600mm$ 단면에 대해서 철근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PP섬유 $1.5kg/m^3$와 강섬유 $40kg/m^3$를 배합비의 실험체가 내화성능이 더 확보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보의 내화성능 관리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 2008-334호.
  2. 김형준, 한상훈, 최승관, "화재시 콘크리트요소 폭렬 영향성 고찰", 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1, No.2 (2007).
  3. 한국표준협회, "건축 구조부재의 내화시험 방법 - 일반요구사항(KS F 2257-1)", 한국산업규격, pp.3-13 (1999).
  4. W.A. Morris,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Fire-resisting Structural Elements",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 Report(1998).
  5. 조경숙, 김흥열, 김형준, "표준화재 재하조건하에서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폭렬 특성 및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Vol.23, No.6, pp.126-134(2009).
  6. 김흥열, 김형준, 전현규, 염광수, "표준화재 재하조건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전열특성 및 화재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Vol.22, No.1, pp.29-39(2009).
  7. K.D. Hertz,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pp.103-116(2003).
  8. Y. Anderberg, "Spalling Phenomena of HPC and OC", NIST Workshop on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Gaithersburg(1997).
  9. U.M. Jumpannen, "Effect of Strength on Fire Behaviour of Concrete", Nordic Concrete Research (1989).
  10. L.T. Phan, "High-strength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An Overview", Proceedings of 6th International Symposiumon Utilization of High Strength/High Performance Concrete, Leipzig, Germany, pp.501-518(2002).
  11. T. Harada, "Strength, Elasticity and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Subjected to Elevated Temperatures", ACI SP-34, Vol.1, pp.393(1972).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09주요)구조물화재거동해석및 설계기술연구-3차년도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40-50(2009).
  13. 김흥열, 김형준, 조경숙, 이재승, 권기혁, "터널화재시 콘크리트라이닝의폭렬및화재손상에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Vol.23, No.3, pp.110-12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