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에서의 비공 - 성대간 거리에 관한 예측공식의 유도

Bedside Estimation of the Length of Nares-Vocal Cord in Children

  • 이영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마취과학교실) ;
  • 신터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장기택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현홍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 한효조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마취과학교실) ;
  • 김현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마취과학교실) ;
  • 서광석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마취과학교실)
  • Lee, Young-Eun (Department of Dental Anesthes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Teo-Je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ang, Ki-Tae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mg-J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yun, Hong-K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Hyo-Jo (Department of Dental Anesthes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eong (Department of Dental Anesthes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Kwang-Suk (Department of Dental Anesthesiolog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2.20
  • 심사 : 2011.12.26
  • 발행 : 2011.12.31

초록

배경: 협조가 불가능하거나 진정법 하 치과치료가 여의치 않을 경우 전신마취 하 치료를 계획하게 된다. 하지만 전신마취 하 치료시 기관내 삽관이 여의치 않은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와같은 경우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다. 기관지 내시경을 환자의 성문에 근접하게 전진시킬 경우 기관지 내시경 하 시야확보가 용이한 점을 감안 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추정하게 되면 맹목적 비강내 기관내 삽관을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방법: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 치과치료가 예정되어 있는 62명의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변수와 비공 - 성대거리와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소아환자들에 있어 비공 - 성대간 거리는 환아의 신장, 체중, 연령 등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공 - 성대간 거리와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들 중 에서 신장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다음과 같은 회귀식을 구하였다. 비공 - 성대간 거리 = (4.8 + 신장(cm)) ${\times}$ 0.07 고찰: 본 연구에서 구해진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도유지가 어려운 소아의 기도유지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Acharya M: Blind nasal intubation in a child with ankyl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Nepal Med Coll J 2008; 10: 271-4.
  2. Bloch E, Ossey K, Ginsberg B: Tracheal intubation in children: a new method for assuring correct depth of tube placement. Anesthesia and analgesia 1988; 67: 590-2.
  3. Danzl DF, Thomas DM: Nasotracheal intubatio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ritical Care Medicine 1980; 8: 677-82. https://doi.org/10.1097/00003246-198011000-00019
  4. Duracher C, Schmautz E, Martinon C, Faivre J, Carli P, Orliaguet G: Evaluation of cuffed tracheal tube size predicted using the Khine formula in children. Pediatric Anesthesia 2008; 18: 113-8.
  5. Freeman JA, Fredricks BJ, Best CJ: Evaluation of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tracheal tube length in children. Anaesthesia 1995; 50: 1050-2. https://doi.org/10.1111/j.1365-2044.1995.tb05949.x
  6. Han DW, Shim YH, Shin CS, Lee Y-W, Lee JS, Ahn SW: Estimation of the Length of the Nares-Vocal Cord. Anesth Analg 2005; 100: 1533-5. https://doi.org/10.1213/01.ANE.0000149900.68354.33
  7. Iserson KV: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1981; 10:468-71. https://doi.org/10.1016/S0196-0644(81)80279-X
  8. Lee JH, Kim CH, Bahk JH, Park KS: The Influence of Endotracheal Tube Tip Design on Nasal Trauma During Nasotracheal Intubation: Magill-Tip Versus Murphy-Tip. Anesth Analg 2005; 101: 1226-9. https://doi.org/10.1213/01.ane.0000169293.59514.28
  9. Machata A-M, Gonano C, Holzer A, Andel D, Spiss CK, Zimpfer M, et al: Awake Nasotracheal Fiberoptic Intubation: Patient Comfort, Intubating Conditions, and Hemodynamic Stability During Conscious Sedation with Remifentanil. Anesth Analg 2003a; 97: 904-8.
  10. Rucker RW, Silva WJ, Worcester CC: Fiberoptic bronchoscopic nasotracheal intubation in children. Chest 1979; 76: 56-8. https://doi.org/10.1378/chest.76.1.56
  11. Stoneham MD: The nasopharyngeal airway. Anaesthesia 1993; 48: 575-80. https://doi.org/10.1111/j.1365-2044.1993.tb07119.x
  12. Walls RM, Facep: Management of the difficult airway in the trauma patient.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1998; 16: 45-61. https://doi.org/10.1016/S0733-8627(05)70348-5
  13. Weitzel N, Kendall J, Pons P: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for Patients With Penetrating Neck Trauma. The Journal of Trauma 2004; 56:1097-101. https://doi.org/10.1097/01.TA.0000071294.21893.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