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vels and Countermeasures of PTSD among Police Officers

경찰관의 PTSD 수준 및 대처방안

  •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1.09.16
  • Accepted : 2011.10.07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According to many studies, a large number of police officers who had recently been exposed to an emergency situation has serious psychological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impact on morale, absenteeism, occupational health, early retirement, family relationships. However, in Korea as it looked during the empirical study of police officers with PTSD had a few. In this study, levels of PTSD among police officers to identify and respond accordingly was to seek ways. The officer's PTSD levels vary according to the study is the relatively high level, when compared to firefighters is a relatively high level. So, I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I presented discovery and management of high risk police officers, distribution of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introduction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active intervention of colleagues and family members, training of stress management techniques.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따르면 최근에 위급상황에 노출되었던 경찰관 중 상당수가 심각한 심리적인 스트레스 상태에 있으며, 사기, 장기 결근, 직업적 건강, 조기 퇴직, 가족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 증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경찰관의 PTSD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PTSD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찰관의 PTSD 수준은 연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이고, 소방관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고위험 경찰관의 발견 및 관리,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 기법의 보급, 직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 동료 및 가족의 적극적 개입, 스트레스 관리 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1994.
  2. 홍종관, "대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 제21권, 제1호, pp.140-141, 2005.
  3. 유양숙,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가족을 위한 개입", 사회과학연구, 제4권, 제1호, pp.225-274, 1997.
  4. R. L. Greene and J. D. Lind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ctims of disaster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17, No.2, pp.301-309, 1994(6).
  5. I. V. E. Carlier, R. D. Lamberts, and B. P. Gersons,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police officers: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85, No.8, pp.498-506, 1997. https://doi.org/10.1097/00005053-199708000-00004
  6. H. M. Robinson, M. R. Sigman, and J. P. Wilson, "Duty-related stressors and PTSD symptoms in suburban police officers," Psychological Reports, Vol.81, pp.835-845, 1997.
  7. Ben Gr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Vol.20, No.1, p.101, 2004(1). https://doi.org/10.1185/030079903125002748
  8. W. H. Kroes, B. Margolis, and J. J. Hurrell, Jr., "Job stress in policemen,"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Vol.2, pp.145-155, 1974.
  9. C. D. Spielberger, L. G. Westberry, K. S. Grier, and G. Greenfield, The Police Stress Survey: Sources of Stress in Law Enforcement, Human Resources Institute, Tampa, FL, 1981.
  10. M. Horowitz, N. Wilner, W. Alvarez,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Vol.41, pp.209-218, 1979.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11. S. Joseph, "Psychosomatic evaluation of Horowitz's impact of event scale : a review," Journal of Trauma Stress, Vol.13, pp.101-113, 2000. https://doi.org/10.1023/A:1007777032063
  12. J. B. Frank, T. R. Kosten, and E. L. Giller,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henelzine and imipramine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5, pp.1289-1291, 1998.
  13. D. S. Weiss and C. R. Marma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 J. P. Wilson, T. M. Keane,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 Guilford Press, pp.399-411, 1997.
  14.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44권, 제3호, pp.303-304, 2005.
  15. 신성원, "경찰관의 가치관이 경찰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76-38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8.376
  16. Riddle, Robin Thomas,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for Ph.D., pp.64-67, 1999.
  17.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8. 최수찬, "기업근로자의 사회심리적 당면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보, 제6권, 제1 호, pp.71-103. 2004
  19. 박해응, 최수찬,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아존중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제12권, p.6, 2005.
  20. 연합뉴스, 2009년 5월 6일자.
  21.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자살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1호, pp.61-82, 2011.
  22.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3. 이옥정,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황인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5. 권순찬, "일개 소방서 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93-204, 2008
  26. 최혜경,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경험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정서적 탈진, 신체증상, 사회및 직업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7. 김윤정,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Cited by

  1. Comparison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Police Officers vol.12, pp.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211
  2. Post Traumatic Stres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Hand Replantation Patients vol.16, pp.1, 2016, https://doi.org/10.15384/kjhp.2016.16.1.67
  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in Republic of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vol.6, pp.3, 2016, https://doi.org/10.1136/bmjopen-2015-009937
  4. Factors Influenc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me Scene Investigators vol.47, pp.1, 2017, https://doi.org/10.4040/jkan.2017.47.1.39
  5. The consequences of traumatic events on resilience among South Korean police officers vol.41, pp.1, 2018, https://doi.org/10.1108/PIJPSM-08-2016-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