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2009), 사망원인통계연보
- 장재임(2001), 뇌졸중 노인환자 가족의 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Dyker A.G., Lees K.R.(1998). Duration of neuroprotective treatment for ischemic stroke. Stroke: a journal of cerebral circulation, Vol.29(2);535-542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doi.org/10.1161/01.STR.29.2.535
- 최수정 (2002).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측정 도구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Vol.14(3);401-410
- Burckart GJ., Kelly PA., Venkataramanan R.(1995), A new immunosuppressive Agent, Am J Health Syst Pharm, Vol.52(14);1521-1535.
- Bushnell C.D, Johnston D.C., Goldstein L.B.(2001). Retrospective assessment of initial stroke severity: comparison of the NIH stroke scale and the Canadian neurological scale. Stroke, Vol.32;656-660. https://doi.org/10.1161/01.STR.32.3.656
- 이경무, 장요한, 김연희, 문승국, 박주현, 박시운, 유희정, 이삼규, 전민호, 한태륜(2004), 한글판 미국 국립 보건원 뇌졸중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대한재활의학회지, Vol.28(5);422-435.
- 조중양, 배희준, 윤병우, 노재규(2000), 급성 허혈성 및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체온의 역할, 대한신경과학회지, Vol.18(5); 544-550.
- 윤두상, 배희준, 김병건, 구자성, 권오현, 박종무, 이수주(2004), 병원기반 코호트에서 급성 허혈성 뇌졸중 및 일과성 뇌허혈 환자의 치명률 및 합병증이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2(5),433-439.
- 홍지만, 신상건, 김장성, 방오영, 주인수, 허균 (2003), 급성 양측성 소뇌경색의 임상 양상 및 기전,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1(1);7-13.
- Gresham G.E.(1986), Stroke outcome research, Stroke, Vol.17;358-362. https://doi.org/10.1161/01.STR.17.3.358
- Mahoney F.I., Barthel D.W.(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Vol.14;61-65.
-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1979),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Vol.60(4);145-154.
- Wolfe C.D.A., Taub N.A., Woodow E.J., Burney P.G.J.(1991), Assessment of scales of disability and handicap for stroke patients, Stroke, Vol.22;1242-1244. https://doi.org/10.1161/01.STR.22.10.1242
- 김진국, 하정상, 변영주(1992), 급성 뇌경색 환자의 기능회복에 관한 예비적 연구: Bathel ADL 척도의 적용으로, 대한신경학회지, Vol.10(3);298-307.
- 홍찬, 김종열, 서정규(1999),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운동유발전위 검사의 추적 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Vol.17(5);631-636.
- 김상규, 강복수, 황태윤, 사공준, 이경수(2007), 추적관찰을 통한 일개 농촌 노인의 인지기능변화와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Vol.40(2);162-168.
- 김형선, 황영옥,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정희승 (2009),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3);41-53.
- 전병진, 이재신(2005), 뇌졸중 삶의 질 평가도구 타당도 검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3);23-32.
Cited by
- A Study on Factors in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One Year after Diagnosis vol.15, pp.1,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274
-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Affects Performance Skills of Daily Living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ol.10, pp.3, 2016,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075
- A Study of the Effects upon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Perceived Value by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through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vol.7, pp.2, 2013,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053
- The Impacts of Cognitive Function, Disease Severity, and Disability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vol.16, pp.2, 2013, https://doi.org/10.7587/kjrehn.2013.90
-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vol.13, pp.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37
-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in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Being Admitted in Rehabilitation Centers vol.17, pp.2,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88
- 혈액투석환자의 인지기능에 따른 자가간호 행위와 생리적 지표 vol.6, pp.2,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057
- 중년기 성인의 우울, 피로와 삶의 질 간의 관련성 -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 vol.6, pp.2,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091
- 뇌혈관질환자의 미 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vol.16, pp.9, 2011, https://doi.org/10.14400/jdc.2018.16.9.279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활동제한이 우울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vol.14, pp.4, 2011, https://doi.org/10.13066/kspm.2019.14.4.125
- Influence of Health-Related Status and Social Activi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Older Adults Who Live Alone vol.59, pp.2, 2011, https://doi.org/10.3928/02793695-202012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