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접점에서 판매원과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Salesperson's and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t Service Encounter

  • 김경애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김상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박만석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박재범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Kim, Kyung-A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e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Man-Suck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Bu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0.28
  • 심사 : 2011.11.22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인 성별이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은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고객의 행동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다면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단서가 고객의 비언어적 단서에 영향을 미치고 고객의 비언어적 단서가 고객의 감정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객의 성별에 따라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신체언어가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신체언어가 여성이 남성보다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신체적 외형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감정은 고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정서감염과 모방현상을 통해 고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며 고객은 안면피드백을 통해 다시 자신의 감정을 형성하는 근거로 삼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의 긍정적 반응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effect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alespersons at service encounter on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responses. The previous studies overlooked the correlation between salesperson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t service encounter, although non-verbal communication of salespersons has potentialities evoking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s in various ways. If it is a salesperson who a customer first encounters within a shop,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alesperson affects his/her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hese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 his/her emotional responses, and these emotional responses affect his/her behavior. This phenomenon is based on the theory of emotional contagion, mimic, and face feedback. Therefore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greetings, postures and eye-contact manners through the personal interactions between salespersons and customers, can be said to be an antecedent variable which affects the positive responses of custom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inesic of salesperson's non-verbal communication was found to affect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ustome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 emotional responses experienced at service encounter,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affect customers' behavior responses. This result provides an opportunity which makes one turn eyes on salespersons' non-verbal communication at sales encounter both practically and scientifically, through introducing salespersons' non-verbal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enhance customers' positive responses but has been passed over by the previous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