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강의평가 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Lecture Evaluation Service in University

  • 이문구 (김포대학 IT학부 인터넷정보과)
  • Lee, Moon-Goo (Kimpo College School of IT, Department of Internet Information)
  • 투고 : 2011.08.30
  • 심사 : 2011.09.20
  • 발행 : 2011.09.30

초록

강의평가는 정확하게 학생들의 수준을 평가하고 대학교육의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강의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평가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방법은 K 대학에서 시행된 강의평가를 기반으로 각 교과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업에 4주 이상 장기결석한 학생은 강의평가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한다. 둘째, 공정한 강의평가를 위하여 평가 시점을 다음 학기 수강신청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한다. 셋째, 수강 신청한 학생 수와 강의평가와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넷째, 다양한 강의평가 도구유형을 적용하고, 강의평가 기술방법도 객관식과 주관식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강의평가 결과는 반드시 다음 강의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A lecture evalu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validate student's level and improve a reformation of the college evaluation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s into the lecture evaluation to apply a better objective method and a fair assessment of all lectures. These researches are analyzed by each subject, based on the lecture assessment performed in K College. First, if a student absent more than 4 weeks, they cannot be participated in the lecture evaluation. Second, the lecture evaluation date takes place when the next class registrations start. Thir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teaching assessment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various types of the teaching assessment tools, including the lecture evaluation method such as multiple choices or writing questions need to be applied. Finally lecture evaluation results must be reflected in the next less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