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Efficiency Improvement Method Research for High Strength Steel Pipe Pile at Gwangyang Area

광양지역 고강도 강관 항타말뚝의 설계효율 향상 방안 연구

  • 나승민 (RIST 강구조연구소,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유한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8.25
  • Accepted : 2011.09.2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Various pile load tests were carried out at Gwangyang district for 10 different pil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cs of steel pile using high strength steel and high driving energy. Pile drivability results showed that PHC piles needed highest total blow count even with the shortest pile length and high strength steel pipe piles showed smallest total blow count eventhough driven to a more hard ground condition with longer pile length. Pile dynami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or PHC pile and general steel pipe pile the allowable pile design load was decided by the allowable material strength but for high strength steel pipe pile the design load can be decided according to the ground bearing capacity. Static load test and load transf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ile design efficiency could be improved over 80% allowing lesser number of piles necessary for a more economical solution. Set-up effect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equation for the site ground condition was derived. Bearing capacity was checked with widely used design equation and the limitation of current design method and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on this subject is dicussed in this paper.

소재의 고강도화와 항타에너지 상향 반영에 따른 강관말뚝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광양지역에 다양한 지름과 소재별로 총 10본의 말뚝을 시공하여 동재하시험, 정재하시험, 하중전이시험 등의 다양한 현장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항타관입성을 분석한 결과, PHC말뚝이 가장 많은 항타횟수와 가장 적은 관입깊이를 나타냈으며 고강도 강관말뚝에서 가장 적은 항타횟수와 깊은 관입깊이를 확인할 수 있어 고항타에너지에 의한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동재하시험결과를 말뚝별로 비교한 결과, PHC말뚝과 일반 강관말뚝의 경우에는 재료의 허용축하중이 말뚝의 설계허용지지력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인 것을 확인한 반면에 고강도 강관말뚝에서는 지반의 지지력에 의해 말뚝의 설계허용지지력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재하시험과 하중전이시험을 고강도 강관말뚝 2본에 대해서 수행한 결과, 말뚝의 설계효율을 80%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소요 말뚝 본수 절감을 통한 공사비 절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대상 지역에서의 주면마찰력 set-up효과를 분석하여 적정 회귀식을 제시하였고 선단지지력에 대해서는 기존 설계식의 한계를 분석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승민 등(2010) 고강도 강관말뚝 항타관입성 평가 연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구결과보고서, 포항산업과학연구원.
  2. 나승민, 유한규, 이장덕, 조천환(2009) 송도지역 재하시험결과 분석을 통한 고강도 강관말뚝의 적용성 분석, 지반공학회 기초기술위원회 워크샵(2009.06), 한국지반공학회, pp. 80-88.
  3. 나승민, 조천환(2009) 강관말뚝의 고강도화와 사례연구, 건설용 고성능강재 이용기술발표회, 대한토목학회, POSCO, RIST, 2009.12.
  4. 나승민, 여경윤, 안동욱(2010) 고성능 강관을 이용한 파일기초분야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개선된 강관말뚝 설계.시공세미나(2010.10), 한국지반공학회, pp. 2-9.
  5. 대한토목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08) 도로교설계기준해설, 기문당.
  6. 조천환(2010) 말뚝기초실무, 이엔지북.
  7. 房田 貢 et al. (2004) 鋼管杭 設計の施工, 鋼管杭協會.
  8. Meyerhof G. (1976)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Pile Foundations,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 102, No. GT3, pp. 197-228.
  9. Yasser E. Mostafa (2011) Onshore and Offshore Pile Installation in Dense Soils, Journal of American Science, Vol. 7, No. 7 pp. 549-563.
  10.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83) Allowable stresses in piles. FHWA/RD-83/059.
  11. Kuusivaara, M. (2000) Steel Pipe Piles, Finnish National Road Administration.
  12.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2007) Recommended Practice for Planning, Designing and Constructing Fixed Offshore Platforms - Working Stress Design, API Recommended Practice 2A-WSD(RP 2A-W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