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용수과부족지수(WEDI)를 이용한 사회경제학적 가뭄평가

The Assessment of Socioeconomic Droughts Using a Water Excess Deficiency Index

  • 유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박종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김태웅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0.11.25
  • 심사 : 2011.02.28
  • 발행 : 2011.06.30

초록

일반적으로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정의한 후 정성적 혹은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다. 이중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에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사회경제학적 가뭄평가와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적용가능한 사회경제학적 가뭄을 정의하고 가뭄평가를 수행하였다. 사회경제학적 가뭄을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와 산업발전을 반영하는 용수수요 현황과 수자원 공급시설의 개발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증가를 반영하는 용수공급 현황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용수과부족지수(WEDI)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용수과부족지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의 가뭄지수(SPI, PDSI)와 실제 가뭄발생(2001년 봄가뭄)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용수과부족지수를 경상도에 적용하여 용수수요량 대비 용수공급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용수가 부족한 지역과 여유있는 지역을 구분할 수 있었다.

Drought assessment is usually performed qualitatively and/or quantitatively after defining a drought from meteorological, agricultural, hydrological, and socioeconomic perspective. Most of the drought analyses focus on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s, whereas the socioeconomic drought evaluation has been not actively performed since it needs different aspects. In this study, after defining a socioeconomic drought applicable to assess droughts in Korea, we suggested Water Excess Deficiency Index (WEDI) as an useful tool to evaluate socioeconomic droughts, based on water demand condition and water supply con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validity of WEDI by comparing with other drought indices (SPI, PDSI) and historical drought condition in Gyeongsang-do in 20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EDI can be used to assess regional droughts in a socioeconomic persp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2)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2007)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박민지, 김성준, 박상선, 신영호(2010) 수자원공급 능력을 고려한 신규가뭄지수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5호, pp. 38-42.
  5. 이동률, 문장원, 이대희, 안재현(2006) 저수지 가뭄감시를 위한 물공급능력지수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3호, pp. 199-214.
  6. 이재수(2006) 수문학, 구미서관.
  7. 한화진, 안소은, 황진환, 김정은(2006)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시스템 구축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환경부(2003) 세계 물의 해 자료집.
  9.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0. UNEP (2002) Global Environment Outlook 3: Past, Present, and Future Prespectives. Nairovi, UNEP.
  11. Wilhite, D.A., Sivakumar, M.V.K., and Wood, D.A.(eds.) (2000) Early 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drought management, Proceedings of Experts Group Meeting, Geneva, Switzerland, World Meterological Organization.
  12. World Bank (2003) Making Services Work for Poor People. World Development Report 2004.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13. WWAP (2003) Water for People, Water for Life. The United Nations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Berghahn Books, UK.
  14.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15.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