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Color Difference in Elastic Pavement that uses EPDM Chip using Ultraviolet Ra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에 의한 EPDM Chip을 사용한 탄성포장의 색차분석

  • 홍창우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9.13
  • Accepted : 2010.11.28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Recently, the usage of elastic paving using EPDM Chip instead of pedestrian sidewalk blocks or permeable concrete used mostly for pedestrian walk, trails and in parks has been increassed as it can absorb impact during walking and produce wide range of colors and designs. However, the properties of EPDM Chip including elasticity and durability are decreased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 and scenic paving functions through various colors are lowered due to the yellowing phenomenon. In this study, ultraviolet ra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olor changes in EPDM Chip and polyurethane resin,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of elastic paving,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 The color difference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e color value coordination of the colored space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schem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lor changes in BL polyurethane resin which is used most frequently at present was larger than that of EPDM Chip. Moreover, the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of BC polyurethane resin are 3.162 on the $14^{th}$ day of commencement of acceleration, which is 6 times greater color change resistance against ultraviolet ray than that of BL polyurethane resin with total color difference of 20.639. Therefore, the usage of BC polyurethane resin, which is manufactured to have chain-type molecular structure by using the isocyanate as the HMDI at the time of producing polymer, as binder in elastic paving with EPDM Chip is found to be a highly efficient method of restraining the color changes due to the ultraviolet ray.

최근에 들어 보도나 산책로, 공원 등에 주로 사용되었던 보도블록 및 투수콘크리트 대신 합성고무칩(EPDM Chip)을 사용한 탄성포장이 보행시 충격흡수와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에 노출시 합성고무칩의 탄성력, 내구성 등이 저하되고, 황변현상으로 다양한 색상에 의한 경관포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노출 시 탄성포장의 주재료인 합성고무칩과 폴리우레탄수지의 색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공간의 색 수치좌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색차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BL 폴리우레탄수지의 색변화가 합성고무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C 폴리우레탄수지의 총색차 ${\Delta}E$가 촉진재령 14일에서 3.162로 BL 폴리우레탄수지의 20.639에 비해 6배 정도 자외선에 대한 색변화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합성고무칩을 사용하는 탄성포장에서 폴리머 제조시 이소시아네이트를 HMDI로 사용하여 체인형 분자구조를 갖도록 제조된 BC 폴리우레탄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에 의한 색변화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인, 홍순달(2002) 토양의 색 특성과 색차계 측정치의 상호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35권 제2호, pp. 77-86.
  2. 김운(2010) 조경용 탄성포장의 재료배합비율에 따른 결합력과 반발탄성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3. 김진국, 김인환, 신진수(1998) 천연고무와 EPDM의 노화거동, Elastomer, Vol. 33, No. 3, pp. 159-167.
  4. 박영섭(1989) 아크릴릭 레진의 색차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이동욱(2002) 색의 기본이론과 스펙트럼 분포를 통한 색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이재용, 고성석(2003) CIE $L^{\ast}$, $a^{\ast}$, $b^{\ast}$ 표색계를 적용한 무기안료가 착색시멘트모르터의 색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11호, pp. 125-132.
  7. 장두희, 김지훈, 김영주(2010) 폐 EPDM고무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9권 제3호, pp. 365-370.
  8. 전이주(1999) 복합레진의 광중합 전.후와 shade guide의 색차 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지재성 등(2006) 포장면의 환경성 향상 소재 개발, 연구보고서 건기원 2006-09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한승호(2007) 조경용 투수포장의 환경성능 평가기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Nandish M. Mattikalli(1997) Soil color modeling for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bands of landsat sensors using laboratory spectral measur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59, pp. 1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