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amflow Forecast Model o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 하천유량 예측모형 구축

  • Lee, Byong-Ju (Hydrometeorological Resources Research Team, Applied Meteor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Bae, Deg-Hyo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이병주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문자원연구팀) ;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6.17
  • Accepted : 2011.10.12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ejong University River Forecast (SURF) model which consists of a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and measured streamflow assimilation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technique for streamflow forecast on Nakdong river basin.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43 subbasins. The forecasted streamflows are evaluated at 12 measurement sites during flood season from 2006 to 2007. The forecasted ones are improved due to the impact of the measured streamflows assimilation. In effectiveness indices corresponding to 1~5 h forecast lead times, the accuracy of the forecasted streamflows with the assimilation approach is improved by 46.2~30.1% compared with that using only the rainfall-runoff model. The mean normalized absolute error of forecasted peak flow without and with data assimilation approach in entering 50% of the measured rainfall,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the latter is improved about 40% than that of the former. From these results, SURF model is able to be used as a real-time river forecast model.

본 연구는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관측유량 자료동화기법으로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연계한 SURF 모형을 낙동강유역에 적용하여 하천유량예측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낙동강유역을 43개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2006년과 2007년의 홍수기간 동안 12개 평가지점에 대해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관측유량 자료동화 효과로 인해 예측유량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1~5시간의 예측선행시간별 유효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자료동화로 인해 46.2~30.1%의 모의유량의 정확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측강우의 50%를 적용하여 자료동화 전 후의 모의 첨두유량에 대한 평균정상절대오차를 비교하였으며 자료동화로 인해 40% 이상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URF 모형은 낙동강유역의 실시간 하천유량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 임진강 강우레이더 시스템 최적화 연구용역.
  2. 김진훈, 이경도, 배덕효(2005). "레이더 추정강우의 수문 학적 활용(II): 불확실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 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2호, pp. 1051-1060. https://doi.org/10.3741/JKWRA.2005.38.12.1051
  3. 박진혁, 강부식, 이근상, 이을래(2007). "레이더와 Vflo를 이용한 남강댐유역 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논문집,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3호 pp. 13-21.
  4. 박진혁, 허영택(2009). "물리적기반의 분포형모형을 활용한 임진강유역 홍수유출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51-60.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51
  5. 배덕효(1997). "저류함수법을 이용한 추계학적 실시간 홍수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49-457.
  6. 배덕효, 이병주(2011) "대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1호, pp. 51-64.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51
  7. 석미경, 남경엽, 김영화, 오성남(2005). "WPMM을 이용한 레이더 반사도로부터 정량적 레이더 강우강도 추정."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41권, 제1호, pp. 123- 138.
  8. 이병주, 배덕효(2011).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 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3호, pp. 199-208. https://doi.org/10.3741/JKWRA.2011.44.3.199
  9. 이병주, 배덕효, Shamir, E. (2009). "앙상블 칼만필터를 연계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 개발(II): -적 용 및 검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63-972.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1.963
  10. 정성화, 김경익, 하경자(2005). "지상 우량계의 강우강도를 이용한 개선된 레이더 강우강도의 실시간 추정."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41권, 제5호, pp. 751-762.
  11.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56.
  12. Evensen, G. (1994). "Sequential data assimilation with a nonlinear quasi-geostrophic model using Monte Carlo methods to forecast error statistic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9, No. C5, pp. 10143- 10162. https://doi.org/10.1029/94JC00572
  13. Kalman, R. (1960).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s AMSE,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Vol. 82D, pp. 35-45.

Cited by

  1. Development of Realtime Dam's Hydrologic Variables Prediction Model using Observed Data Assimilation and Reservoir Operation Techniques vol.46, pp.7,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7.755
  2. Time Series Analysis of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in Nakdong River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vol.34, pp.5, 2016, https://doi.org/10.7848/ksgpc.2016.34.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