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기도 일부 지역 청소년들의 치과공포 및 불안에 대한 연구

DENTAL FEAR AND ANXIETY OF JUVENILES IN SOME AREAS OF GYEONGGI PROVINCE

  • 심연수 (청주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아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
  • 안소연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
  • Shim, Youn-Soo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heongju University) ;
  • Kim, Ah-H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and public Oral Health,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An, So-Yo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1.06.05
  • 심사 : 2011.11.05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치과치료 관련 공포 및 불안 수준을 측정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불안과 공포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중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남학생 337명, 여학생 277명으로서 과거 치과치료 경험이 있는 총 61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문항별 답변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별 응답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포점수의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 일부 중학생들은 치과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도 치과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실에서 직접 치료를 하는 경우와 관련된 항목에서 공포를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치과공포도를 보였다(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fear and anxiety levels of som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to seek how to alleviate such fear and anxiety and thus enable to make a comfortable and efficient oral management. Six hundred twenty two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used the data of 614 respondents, i.e. 337 males and 277 female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answers for each question, a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answer and an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fear scores. According to the results patients feared even in unexpected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y feared when receiving direct treatment.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fear than male ones (p<0.05).

키워드

참고문헌

  1. Glasrud PH : Dentists' characteristics and child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ASDC J Dent Child, 51:337-343, 1984.
  2. 대한소아치과학회: 소아치과학. 개정1판. 이화출판사, 서울, 118-125, 1990.
  3.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보도 자료. 2006.
  4. Kvale G, Berg E, Raadal M : The ability of Corah's Dental Anxiety Scale and Spielberger's State Anxiety Inventory to distinguish between fearful and regular Norwegian dental patients. Acta Odontol Scand, 56:105-109, 1998. https://doi.org/10.1080/00016359850136076
  5. Buchanan H, Niven N : Validation of a Facial Image Scale to assess child dental anxiety. Int J Paediatr Dent, 12:47-52, 2002.
  6. Fiset L, Milgrom P, Weinstein P, Melnick S : Common fears and their relationship to dental fear and utilization of the dentist. Anesth Prog, 36:258-264, 1989.
  7. Agras S, Sylvester D, Oliveau D : The epidemiology of common fears and phobia. Compr Psychiatry, 10:151-156, 1969. https://doi.org/10.1016/0010-440X(69)90022-4
  8. Moore R, Birn H, Kirkegaard E, et al. :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ental anxiety in Danish adul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1:292-296, 1993.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3.tb00777.x
  9. Schuurs AH, Hoogstraten J : Appraisal of dental anxiety and fear questionnaires: a review.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1:329-339, 1993.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3.tb01095.x
  10. Locker D, Liddell AM : Correlates of dental anxiety among older adults. J Dent Res, 70:198-203, 1991. https://doi.org/10.1177/00220345910700030801
  11. Kleinknecht RA, Thorndike RM, McGlynn FD, Harkavy J : Factor analysis of the dental fear survey with cross-validation. J Am Dent Assoc, 108:59-61, 1984.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84.0193
  12. 염순준, 박기태 : 시청각 기구를 이용한 소아환자의 행동조절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9:189-198, 2002.
  13. 김윤희, 이광희, 라지영, 이동진 :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의 치과치료장면 그림에 투사된 치과불안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390-397, 2007.
  14. 최서정, 박호원 : 환아의 그림을 통한 치과치료시 불안도 평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0:354-362, 2003.
  15. 유성이 : 아동의 치과병원 공포감소를 위한 인지 행동적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석사 학위논문, 1993.
  16. 우찌다 야스노부, 김규식, 임재석 : 치과 환자의 심리 : 치과 심신증 환자는 어떻게 치료 하는가. 군자출판사, 서울, 84, 1995.
  17. 위유민, 이창섭, 이상호 : 소아환자의 치과의사 복장에 대한 선호도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9:168-179, 2002.
  18. 이병국 : 음악감상을 통한 치과진료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석사 학위논문, 2001.
  19. 김성희, 백병주, 김재곤 등 : 치과 방문 시 어린이와 부모의 치과 불안도의 상관 관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370-376, 2005.
  20. 권수진, 최유진 : 경남지역 청소년들이 치과진료형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77-2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277
  21. Erten H, Akarslan ZZ, Bodrumlu E :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patients attending a dental clinic. Quintessence Int, 37:304-310, 2006.
  22. Peretz B, Efrat J : Dental anxiety among young adolescent patients in Israel. Int J Paediatr Dent, 10:126-132, 2000.
  23. Holtzman JM, Berg RG, Mann J, Berkey DB : The relationship of age and gender to fear and anxiety in response to dental care. Spec Care Dentist, 1997 17:82-87, 1997. https://doi.org/10.1111/j.1754-4505.1997.tb00873.x
  24. 최준선 : 치과공포가 치과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피인용 문헌

  1. A relevant factor analysis on dental treatment fear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vol.12, pp.4,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741
  2. Analysis of a relevant factor on dental treatment fear using dental fear survey in college women vol.13, pp.1,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098
  3. Dental clinic fear in high school students vol.13, pp.4, 2013,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645
  4.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dental fear in Korea(2004-2012) vol.14, pp.2,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251
  5.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dental fear in implant surgery patients vol.14, pp.3,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371
  6. Fear of dentist care and quality of life in dental health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vol.14, pp.6,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6.951
  7. Dental fear and related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using analysis on dental fear survey vol.16, pp.3,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