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the Korean: Utilizing Data of National Statistics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 김경식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사회체육학과) ;
  • 이루지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10.13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the Korean.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is study utilized the survey data on the condition of Korean leisure activities performed by Korea Culture Tourism Research Institute. The number of samples are total 3,051 peopl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has a differ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eisure type. Second, the degree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on the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gree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on the happiness. Fourth,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happiness.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실시한 국민여가활동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사례수는 3,051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 및 행복은 차이가 있다. 즉, 여가만족은 70대이상,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고, 행복은 30대, 가계수입 600만원이상, 대학원이상, 스포츠활동 집단에서 높다. 둘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활동 빈도와 비용이 많을수록 여가만족은 높은 반면, 여가활동 시간이 많이 소요될수록 여가만족은 감소한다. 셋째, 한국인의 여가활동 정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수록 행복은 높은 반면, 빈도가 많을수록 행복은 낮아진다. 넷째, 한국인의 여가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행복 또한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한국인 행복지수 추락...ERISS조사 70점 턱걸이, 2010. 7. 5.
  2. 구희곤, 임수원, 사관생도의 여가스포츠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05-114, 2008.
  3. 김경식,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 김양례, 여가활동 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0권, 제3호, pp.553-566, 2009.
  5. 김정운, 이장주,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2 호, pp.1-15, 2005.
  6. 김태성, 차지원, 한일 정구 활동 참여자의 몰입경험, 여가만족, 생활만족,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41-161, 2010.
  7. 문화관광연구원, 국민여가활동실태조사, 2010.
  8. 안병욱, 임영삼, 태권도 지도자의 여가활동 유형과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83-194, 2010.
  9. 엄진종, 생활체육 동호인의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9권, 제2호, pp.851-864, 2010.
  10. 윤이중,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1. 이상구, 강효민, 직장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4호, pp.1-18, 1997.
  12.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13. 장순용, 김송희, 여가활동 유형에 다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24권, pp.17-30, 2003.
  14. 최성훈, 이연주,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 분석: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1 호, pp.567-575.
  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2008.
  16. A. Campbell, P. E. Converse, and W. L.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17. B. A. Brown and B. G. Frankel, Activity through the years: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Sociology of Sport Journal, Vol.10, pp.1-17, 1993. https://doi.org/10.1123/ssj.10.1.1
  18.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5, pp.42-575, 1984.
  19. 백원칠, 송은일,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2권, 제2호, pp.1321-1330, 2010.
  20. L. Lu and M. Argyle,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s a function of leisure activity, Kaobsiung Journal of Medical Science, Vol.10, pp.89-96, 1994.
  21. M. G. Ragheb and C. A. Griffith,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4, No.2, pp.295-306, 1982.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27
  22. P. Shaver and J. Freedman, Happiness, Psychology Today, Vol.10, pp.26-33, 1976.
  23. 임번장, 사회체육개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0.
  24. 박병국, 여가스포츠 참여가 여가만족 및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6호, pp.1205-1214, 2001.
  25. 조성수, 노인의 레크리에이션 참가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2008.
  26. 권현재, 박근수, 모험관광 참가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376-38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76
  27. 이정순, 관광활동, 관광.여가만족, 웰빙지각과의 관계,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pp.75-9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