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Spousal Relationship's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조혜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최수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09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pousal relationship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to find differences in the spous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For the study, 475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men and women residents with their spouses living in Seoul. The 464 collected data excluding incomplete 11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regression, t-test and, ANOVA with SPSS 17.0.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intimacy-communication, expression of affection, and leisure-sharing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well-bing, and intimacy-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affection affect negatively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but not leisure-sharing.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pousal relationship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demograpic factors.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부부관계(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의사소통)가 심리적복지감(긍정적, 부정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관계 및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녀 유배우자들이고 설문지는 500부를 배포하여 475 부를 회수하였다. 그 중 결측치를 제외한 46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 회귀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여가공유가 긍정적 복지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여가공유를 제외한 친밀소통 및 애정표현이 부정적 복지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등에 따라서 친밀소통, 애정표현 및 여가공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긍정적 복지감 및 부정적 복지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분석 및 전망",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29, 2010.
  2. M. Perlmutter and E. Hall, "Adult Development and Aging," New York, John Wiley and Sons,1985.
  3. 이윤로, 유시순,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 연구, 제1권, 제1호, pp.1-21, 2004.
  4. 권오균, 허준수,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7-30, 2010.
  5. 이선미,"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 임선영, 김태현, "노년기 부부스트레스와 결혼불안정성", 한국노년학, 제21권, 제3호, pp.111-128, 2002.
  7. 김재엽, 김동배, 최선희,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회, 제18 권, 제3호, pp.103-122, 1998.
  8. 정동섭, "중년기 이후의 부부사랑",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2권, pp.156-179, 2006.
  9. 김소진,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1087-1105, 2009.
  10.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9.
  11.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2. 현경자, "결혼의 질과 안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 영역",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1권, pp.158-193, 2005.
  13. 김태현, 전길양, "노년기 부부의 상호간 지지와 역할공유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17권, 제2호, pp.167-182, 1997.
  14. 이기영, 김외숙, 구혜령, "부부의 공유여가시간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3호, pp.113-126, 1995.
  15. 서병숙, 김수현,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55-67, 2000.
  16. 유시순,"노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 사회사업 연구,제6권, 제1호, pp.123-140, 2009.
  17. 김영혜,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 한국인구학, 제27권, 제1호, pp.1-30, 2004.
  18. 백경숙, 권용신, "치매노인의 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9권, pp.33-52, 2008.
  19. 이혜경,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제46권, pp.315-336, 2009.
  20. E. H. Erikson, J. M. Erikson, and H. Q. Kivnick, Vital involvment in old age, Nwe York: Norton, 1986.
  21. D. J. Levinson,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1978.
  22. www.nps.or.kr/jsppage/info/easy/easy_04_02.jsp.
  23. 홍숙자, 노년학개론, 하우:서울, 2007.
  24. Brody, E. M. Long-trem care of older people: Apractical guide, New York: Human science press, 1977
  25. 김유경, 김양희, 임성은, "한국가족의 위기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 경제위기 이후 가족생애 주기별 위기유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57, 2009.
  26. R. J. Sternberg,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Vol.93, No.2, pp.119-135, 1986b. https://doi.org/10.1037/0033-295X.93.2.119
  27.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6권, 제1호, pp.91-104, 2006.
  28. 박은아, 이정우, "노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7권, 제2호, pp.25-44, 2003.
  29. 김경신, 이선미, "노년기 부부갈등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1-54, 2001.
  30. 박의순, "애착과정으로 본 한국부부의 사랑-대부모 애착, 부부 애착과 부부 사랑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31. 김영나, "노인들의 부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2. 박지은, "노인의 부부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3. 김윤정, 서선영, "중, 노년 간 부부 Romantic Relationship", 한국노년학, 제25권, 제1호, pp.87- 102, 2005.
  34. 이혜자, 김윤정, "부부관계(사랑과 성)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 제24권, 제4호, pp.197-214, 2004.
  35. 신상식, 최수일,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10.
  36. 황성용, "재가노인을 위한 복지서비스와 여가활동 서비스가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37. W. Wood, and N. Rhodes, "Sex differences in posi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06, No.2, pp.249-264, 19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6.2.249
  38. E. Diener, "Subject Well-Being", The Science of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arch Series, Vol.37, pp.11-58, 2009. https://doi.org/10.1007/978-90-481-2350-6_2
  39. 박영준,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여가만족 및 심리적 복감과의 인과관계 연구", 농촌사회, 제20집, 제2호, pp.233-263, 2010.
  40.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t Is?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b.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41. V. Dagenais-Desmarais, and A. Savoie, "What is Psychological Well-Being, Really? A Grassroots Approach from the Organizational Science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Online First, Vol.21, 2011(7).
  42. N. Bradbue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1969.
  43. F. B. Bryant and J. Veroff,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histor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3, No.4, pp.653-673, 1982. https://doi.org/10.1037/0022-3514.43.4.653
  44. M. A. Okun, "Life Satisfaction," G. L. Mddox(Eds),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Spring, pp.339-401, 1987.
  45. K. D. Linconln, R. J. Taylor, D. H. Chae, and L. M. Chatters, "Demographic Correlat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Among Older African Americans and Caribbean Black Adults," Best Pract Ment Health, January: Vol.6, No.1, pp.103-126, 2010.
  46. T. D. Windsor, L. H. Ryan, and J. Smith, "Individual Well-being in Middle and Older Adulthood: Do Spousal Beliefs Matter,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64, No.5, pp.586-596, 2009.
  47. 조아랑, 박진경, "정신과 외래에서 살펴본 노년기 부부관계", 경희의학, 제23권, 제2호, pp.112-117, 2007.
  48. 최유호, 김윤정, 김용미, "시설노인의 성태도, 성욕구가 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26-236,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26
  49. J. J. Gierveld, M. B. van Groenou, A. W. Hoogendoorn and J. H. Smit, "Quality of Marriages in Later Life and Emotional and Social Lonelines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4, No.4, pp.497-506, 2009.
  50. 이연숙,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43-364, 2008.
  51. 김혜선, "노년기 유배우자의 성생활 인식, 성생활 실태와 부부 관계와의 관계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제38권, pp.311-338, 2007.
  52. 정인숙, "노인의 원인귀속유형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생활만족감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53. 이영자,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54. C. M. Proulx, H. M. Helms, and C. Buehler, "Marital Quality and Personal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9, pp.576-593, 200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393.x
  55. 정은, 이수한,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부부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한국비영리연구, 제6권, 제1호, pp.243-275, 2007.
  56. E. Diener, and E. Suh, "Age and Subjctive Well-Being,"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17, pp.304-324, 1998.
  57. 박혜성,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8.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59. E. Diener, Eunkook M. Suh, R. E. Lo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No.2,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60. 박소희,"기혼여성의 여가활용특성과 정서표현 성, 부부공감, 친밀감 및 여가공유의사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7.
  61. 박은아,"단독가구 남녀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의사결정 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2. 허명회, 수량화방법 I․II․III․IV, 자유아카데미: 서울, 1999.

Cited by

  1. Mediating Effects of Adult-Child Relationship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vol.31, pp.1,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1.129
  2. Effects of the Division of Housework, Perceived Marital Fairness, and Communic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in Elderly Household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vol.26, pp.2,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2.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