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Occupation and Activity Nature of the Middle-Aged on Retirement Preparation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 신계수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조성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1.09.16
  • Accepted : 2011.11.07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financial hardship with low birth rate and rapid growing of advanced aged people because low economic growth and low interest rate have continued after IMF foreign-exchange crisi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for the middle-aged people to have well-prepared retirement plan in the sense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preparedness. The study intends to find out how the occupation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affect the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preparation for their remaining old age.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44 middle-aged people working in private companies, public offices and small-business owners in metropolitan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physically well-prepared, as they thought their leisure activity was more important, their occupational role was more stable and they were old and healthy. Second, Women had notion about their occupation if they kept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they were psychologically prepared well as they valued their leisure activities. Third, if they perceived their occupations as stable and had more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they were socially well-prepared. Fourth, Although the level of economical preparation depends on their wealth, the occupation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had no effect on the economical prepar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retirement preparation as a recent social issue has been influenced by the nature of occupation and activity and suggest that the definite policy and program will be required for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middle-aged people from various aspects.

급속한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 이후 저성장과 저금리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여건에서 현재 중년층은 다가올 노년기에 대비하기 위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은퇴준비를 체계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은퇴준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충청권 지역의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전문직에 종사하는 30~50대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높고 건강이 좋을수록 직장에서의 역할이 안정적이고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신체적 준비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남성에 비해 여성이 직장동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수록 직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여가활동을 중요시할수록 심리적 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의 직장이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며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 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수록 경제적 준비 정도가 높았지만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은 경제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은퇴준비가 직업 특성과 활동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중년층의 은퇴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석명, 신화연, Hiroshi Yamabana, 김순옥, 김재경, 문채봉, 공적연금 재정평가 및 정책현안 분석,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 R. J. Havighurst,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ackay, 1972.
  3. 김남순, "중년층 근로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 E. R. Oetting, G. C. Thornton, Holtzman, and H. Wayne, Exercises in psychological testing, New York: Harper & Row, 1968.
  5. 장하경, 서병숙, "중년기 여성의 성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56-168, 1993.
  6. 배계희, "중년기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7.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 성말순, "중년여성의 노후생활 준비와 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 배문조, "개인적 심리적 직업관련 변인이 은퇴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0. 김성숙, 박운아, "도시가계의 경제적 노후준비행동과 관련 노인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3권, 제2호, pp.45-57, 1992.
  11. 차경욱, 박미연, 김연주, "20∼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 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49-163, 2008.
  12.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경제적.사회적 노후준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20권, 제2호, pp.275-289, 2009.
  14. 정종보, 임왕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35-35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35
  15. 안준희, 임경춘, 이윤정, 김경식, "컴퓨터/인터넷게임 활동이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406-41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406
  16. 이행숙, "주부의 노후생활준비의식.행동 및 경제대책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 임수민, "직장인의 노후생활준비도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최성재, "국민의 노후생활에 대한 전망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2권, 제2호, pp.1-22, 1992.
  19. 홍숙자, "중년기 여성의 노후설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0. 김문을, "중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스트레스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1. 송명숙, "중.장년기 여성의 특성과 노후대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2. 문숙재, 김순미, "은퇴준비를 위한 재무계획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15, 1997.
  23. 김성희,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4. D. S. Woodruff and J. E. Birren, Scientific Perspectives and Social Issues(2nd ed), California: Brooks/Cole. 1983.
  25. R. J. Havighurst, Successful Aging, 1969.
  26. K. M. Kilty and J. H. Behling,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among professional workers," The Gerontologist, Vol.26, No.5, pp.525-530, 1985.
  27. S. Gee and J. Baillie, "Happily ever after? An explor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Vol.25, No.2, pp.109-128, 1999.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909
  28. V. Richardson and K. M. Kilty, "Retirement intentions among black professionals: Implications for practice with older black adults," The Gerontologist, Vol.32, No.1, pp.7-16, 1992. https://doi.org/10.1093/geront/32.1.7
  29. M. A. Hardy and J. Quadangno, "Satisfaction with early retirement: Making choices in the auto industr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50B, pp.217-228, 1995. https://doi.org/10.1093/geronb/50B.4.S217
  30.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7-34, 2003.
  31.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연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한국사회학, 제34집, 가을호,pp.621-647, 2000.
  32. 김영호, "노인과 자원봉사활동", 노인복지정책연구, 제15권, pp.227-270, 1999.
  33. 박미석, "우리나라 노인의 은퇴 후 여가선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12호, pp.107-122, 2004.
  34. 지승훈,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김영채,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6. 전귀연, 배문조,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3-24, 2010.
  37. D. J. Ekerdt, S. DeViney, and K. Kosloski, "Profiling plans for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51B, pp.140-149, 1996. https://doi.org/10.1093/geronb/51B.3.S140
  38. M. H. Kim, "Retirement attitudes, preparations, conceptualiz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retirement among first generation Korean- Americans in mid-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2.
  39. 김지영,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0. 임희정, "중년층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1. 정애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2. 이승아,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대한가정학회지, 제36권, 제5 호, pp.125-135, 1998.
  43.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43권, 봄호, pp.135-156, 2009.
  44. A. A. Dan, "What are people doing to prepare for retirement? Structural, personal, work, and family predictors of planning," Ph. D.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4.

Cited by

  1.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of Male Drinkers according to Life Cycle vol.26, pp.2, 2014,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