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ilm 〈Obaltan〉 focused on Narratology's Viewpoint

서사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영화〈오발탄〉의 서사구조 연구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8.24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Movie research in the 1980's structuralism looks tendency to escape director or text research and analyze spectator or inspection action. These post-structuralist divert interest by analytic convention of spectators in analysis by director's intention or text type correctly. There is the age that spectator, inspectional action and inspectional subject weighs more than director, work and text itself. But, inspection of movie can be person's enemy by director's narrative strategy or spectator's analytic quality that depend on a text and spectator and their interaction usually, and only method to acquire universality chooses full analytic discourse to principle. We should be structured by symbol system that the event is consisted of movie language to reappear the event through narrative in movie and this symbol system, director's narrative strategy can cause fixed esthetic distance between spectator. Researches to analyze this distance need to keep universal validity as much as being accepted by effort to gap with director and spectator. Therefore, narrative poetry that I analyze movie narration style by 'narrated' and unit of 'narrating' and study the form and function so-called, is going to follow narratology's access method. The consistent argument of this narrative poetry is that story is consisted of the events and these observe to structured thing by unit that is sequence through arrangement with the other event that adjoin in the event. Also, director need consensus with spectator to reappear connection of this event logically and it is thing which this reappearance form can be done characteristic by narrative strategy in directing. I am going to try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of movie by narrative that is connected at structure of the event and 'narrating-narrative acts' that is interested in way to reappear this story to spectator hereupon. Of course, at process of research, Roland Barthes and his followers wish to apply 'narrative function' and concept of 'narrative acts' that prefer from time to time.

1980년대 이후 구조주의에 있어 영화연구는 감독이나 텍스트 연구를 벗어나 관객이나 관람행위를 분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영화의 관람이란 하나의 텍스트와 관객 그리고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감독의 서사전략이나 관객의 해석적 자질에 의하여 자의적일 수 있으며, 보편성을 획득하는 유일한 방법은 원칙에 충실한 해석적 담론을 선택하는 길이다. 우리가 흔히 영화 서사체에서 서사를 통해 사건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사건이 영화언어로 구성되는 기호체계에 의해서 구조화되어야 하고 이 기호체계 즉, 감독의 서사전략은 관객과의 사이에 일정한 미적거리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를 분석하려는 일련의 연구들은 감독과 관객과의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며 그런 만큼 보편타당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인은 영화서사체를 '서사'와 '서사행위'의 단위로 분석하여 그 형식과 기능을 연구하려는 서사시학 소위, 서사학의 접근 방법을 따를 것이다. 이러한 서사시학의 논저에는 이야기가 사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한 사건에서 인접한 다른 사건과의 배열을 통해 시퀀스라는 단위로 구조화되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이 사건의 연쇄를 논리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감독은 관객과의 교감을 필요로 하며, 이 재현 양식이 감독마다의 서사전략으로 특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사건의 구조화에 관련한 '서사'와 관객에게 이 이야기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심을 둔 '서사행위'로 영화 <오발탄>의 서사구조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롤랑 바르뜨, 김치수 역, 이야기의 구조분석 입문, 서울:문학사상 제72권, 제73권, 제74권, 1979-1980.
  2. 스티븐 코헨, 임병권 역, 서사행위의 이론, 서울:한나래, 1997.
  3. 시모어 채트먼,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민음사, 1990.
  4. 자끄 오몽, 전수일 역, 영화분석의 패러다임, 서울: 현대미학사, 1999.
  5. 제랄드 프랭스, 최상규 역, 서사학:서사물의 형식과 기능, 서울:문학과지성사, 1988.
  6. 제라르 쥬네뜨, 권택영 역, 서사담론, 서울:교보문고, 1992.
  7. C. 메츠, 이수진 역, 상상적 기표:영화.정신분석.기호학, 서울:문학과지성사, 2009
  8. 프랑시스 바느와, 주미사 역, 영화분석입문, 서울: 한나래,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