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 Analysis and Content Development of Digital Text Structure for Designing Visual Experience in e-Book Interface

e-Book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적 경험 설계를 위한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물리적 요인분석 및 콘텐츠 개발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1.10.13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hysical factor of digital text structure for designing e-Book interface and to develop prototype of e-Book interface by applied these factors. To address this goal, explore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237 university students were th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a result, 29 items for physical feature of digital text structure were developed, 9 factors of digital text structure were also extracted; volume, depth, density, space, layout, format, signal, size, and length. Besides, to identify structure of pre-defined 9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CFA, the factor structure was supported by all of model fit indices.

e-Book의 인터페이스 설계는 인쇄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시각적 경험에 의해 획득되는 물리적 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Book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물리적 요인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의 e-Book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봄으로써 그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물리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237명의 대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물리적 요인에 대한 29개의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신뢰도는 0.91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부피(volume), 깊이(depth), 밀도(density), 공간(space), 배열(layout), 형태 (format), 단서(signal), 크기(size), 그리고 길이(length) 등 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설명량은 71.49%였다. 9개 요인의 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의 적재량은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모형 적합지수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논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혜, "디지털교과서 내용 구성에 관한 사용자선호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900-91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900
  2. 김성해, 전자 텍스트 읽기 지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 김영수, "텍스트 정보처리 원리를 적용한 일렉트로닉 텍스트 개발에 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7권, 제1호, pp.53-75, 1991.
  4. 김회수,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의 연구과 제", 교육공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15-134, 1994.
  5. 김효중, 박수진,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21-13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4.121
  6. 나일주, 웹 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1999.
  7. 나일주, 한안나, "전자 텍스트 설계에서 시각지능이론을 적용한 시각적 조직자 프로토타입 개발연구", 평생학습사회, 제2권, 제2호, pp.127-162, 2006.
  8.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2판), 교육과학사, 2007.
  9. 백영균, 학습용 소프트웨어의 설계, 교육과학사, 1995.
  10. 백영균, 웹 기반 학습의 설계, 양서원, 1999.
  11. 백재영, "eBook(전자책) 산업 동향", 전자정보센터, pp.1-16, 2010.
  12. 성은모, "이러닝학습환경에서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시각 표상 설계원리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03-131, 2009.
  13. 성은모, "e-Book 관련 최근 연구의 이슈 및 동향", 2011년 07월 20일 검색, http://ide.knou.ac.kr/policyInfo/HTSInfomationList.htm
  14. 이석재, 유재수, 유관희, 변호승, 송재신, " XML기반 전자교과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74-87, 2006.
  15. 임정훈, "디지털 교과서를 위한 교수설계 및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의 쟁점들",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1-14, 2009.
  16. 전자정보센터, "E-Paper 현황분석", 2010.
  17. 조원, "전자책 서비스 및 솔루션 기술 동향", TTA Journal, 제130권, pp.58-62, 2010.
  18. 진성희,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실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86-49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10.10.1.486
  19. 최성희, 교수 메시지 설계, 남두도서, 2003.
  20. 하미리, 웹 기반 텍스트의 그룹화 기법이 내용구조파악 및 이해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허균, "언어정보의 시각화 과정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2호, pp.143-169, 2006.
  22. A. E. Arntson, Graphic design basics. Belmont, Thomson Wadsworth, 2007.
  23. A. Dillon and J. Jobst, Multimedia learning with hypermedia, In R. E. Mayer (Ed.), The Cambridge handbook of multimedia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569-588, 2005.
  24. M. Fleming and W. H. Levie, Instructional message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3.
  25. J. Hartley, Designing instructional text (2nd ed.), Nichols, 1985.
  26. J. Hartley, Instructional and informational text. In D. H.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rence Erlbaum, 2004.
  27. D. H. Jonassen and R. S. Grabinger, Problems and issues in designing hypertext/hypermedia for learning, In D. H. Jonassen & H. Mandl (Eds.), Designing hypermedia for learning, Spinger-Verlag, 1990.
  28. B. Khan, Web-based instruction(WBI): What is it and why is it,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7.
  29. W. Kintsch and T. A. van Dijk, "Toward a model of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sychological Review, Vol.85, pp.363-394, 1978. https://doi.org/10.1037/0033-295X.85.5.363
  30. R. B. Kozma, "Learning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1, No.2, pp.170-211, 1991.
  31. G. Marchionini, "Hypermedia and learning: Freedom and Chaos," Educational Technology, Vol.28, No.11, pp.8-12, 1998.
  32. R. E. Mayer, Multimedia learning(2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3. M. McDowell and R. Twal, "Integrating Amazon Kindle: A Seton Hall University pilot program," 2009, Retrieved on June, Vol.20, 2011. from http://www.educause.edu/Resources/IntegratingAmazonKindleASetonH/163808
  34. Open eBook Forum, "A Framework for the Epublishing Ecology," Public Comment Draft. Version 0.78, 2000(9).
  35. R. Oliver, A. Omari, and J. Herrington, "Investigat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WWW-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Vol.25, No.1, pp.121-138, 1998.
  36. A. Shapiro and D. Niederhauser, Learning from hypertext: Research issues and finding, In D. H.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rence Erlbaum, pp.605-620, 2004.
  37. S. E. Smaldino, J. E. Russell, R. Hienich, and M. Molenda,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Prentice-Hall, 2005.
  38. F. Thissen, Screen Design Manual: Communication Effectively Through Multimedia,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