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Habitat of Amanita hemibapha

달걀버섯 발생지의 환경특성 분석

  • Sou, Hong-Duck (Division of Forest Microbi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ur, Tae-Chul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 Jung, Sung-Cheol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oo, Sung-Hyun (Department of Fore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un (Division of Research Planning and Coordin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서홍덕 (국립산림과학원 미생물자원연구과) ;
  • 허태철 (한국산지보전협회) ;
  •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
  •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Received : 2011.11.05
  • Accepted : 2011.11.14
  • Published : 2011.12.01

Abstract

Amanita hemibapha is a kind of mycorrhizal mushroom which has a relation with host pl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mushroom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distribution of plants and the diversity of mushrooms in Gwangyang, Chungdo and Daegu. Soil texture in habitate of Amanita hemibapha was Sandy Loam and Sandy Clay Loam which contains a high rate of sand. Soil pH was approximately 5.0 in all study sites. Total nitrogen contents, C/N ratio and available phosphate($P_2O_5$) were the highest at the Chungdo. However, Gwangyang and Chungdo represent similar Cation Exchange Capacity(C.E.C) and Daegu has much less than other areas. Exchangeable cations, $Ca^{2+}$ content was higher at Gwangyang and Chungdo than Daegu and $Na^+$ content was the highest at Chungdo among three sites. Daegu has much $Mg^{2+}$ contents followed by Chungdo and Gwangyang. Interestingly, $K^+$ content listed in reverse order of $Mg^{2+}$ at Gwangyang, Chungdo and Daegu. The main woody plants in study sites are confirmed as Carpinus laxiflora, Quercus mongolica, Q.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Quercus species are found as a common species in three study sites. Lastly, 8 family and 12 species of mushrooms are emerged in Gwangyang, also 8 family and 12 species and 5 family and 10 species are found in Chungdo and Daegu, respectively. Amanita pantherina, Boletus edulis, Tylopilus felleus and Marasmius maximus, which found in study sites, are also kind of mycorrhizal mushroom same as A. hemibaph. By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Q. mongolica, Q. serrata, Q. variabilis and C. laxiflora are expected to as a host plant of A. hemibapha.

달걀버섯과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광양, 청도, 대구 3곳에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식물상, 버섯상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달걀버섯 발생지의 토양은 모래의 비율이 높은 사질양토, 식양토로 나타났고, 토양 pH는 5.0전후로 나타나 달걀버섯이 호산성균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유효인산은 우리나라의 산림토양보다 낮은 1.57~2.99 ppm으로 인산의 가용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 질소는 0.09~0.34%로 대구지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탄질율 16.3~18.5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양이온 치환용량은 광양과 청도지역이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대구지역이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으며 11.62~19.36 $cmol^+$/kg의 범위를 나타냈고, 치환성양이온 중 $Ca^{2+}$는 광양과 청도지역이 비슷하며 대구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Mg^{2+}$는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낸 대구, 청도, 광양 지역 순이며, $K^+$는 광양, 청도, 대구지역 순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Na^+$ 역시 3곳 모두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중, 청도지역 수치가 가장 높았다. 범위는 $Ca^{2+}$ 1.21~2.3 $cmol^+$/kg, $Mg^{2+}$ 0.35~0.89 $cmol^+$/kg, $K^+$ 0.24~0.29 $cmol^+$/kg, $Na^+$ 0.18~0.21 $cmol^+$/kg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물질과 탄수화물은 균근성 버섯이 식물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식물, 토양, 균근의 여러 조건에 따라 그 수치가 유동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지역의 주요 식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 나타났으며, 발생지 3곳 공통으로 참나무류가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버섯은 광양 8과 12종, 청도 8과 12종, 대구 조사지역에서 5과 10종이 발견되었으며, 달걀버섯과 같은 균근성 버섯으로는 마귀광대버섯, 그물버섯, 쓴맛그물버섯 등이 발견되었다. 식물상과 버섯상을 토대로 달걀버섯과의 상응분석 결과, 달걀버섯의 기주식물로는 활엽수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등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균근성 버섯인 청머루무당버섯, 마귀광대버섯, 뱀껍질광대버섯, 수원무당버섯과 유사한 기주식물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성, 임종환, 신준환, 양희문, 천정화, 박찬열, 이임균, 가강현, 이승우, 박병배, 김선희, 최명섭, 김영걸, 윤충원, 김성수, 박영석, 김병우, 박대식, 장민호, 신상언, 이우신. 2009. 운문골 산림생태지도. 국립산림과학원 pp. 63-100.
  2. 김동수. 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3. 김양섭, 석순자, 원향연, 이강효, 김완규, 박정식. 2004. 한국의 버섯. 동방미디어 pp. 104-105.
  4. 김홍은, 구창덕, 김재수, 박재인, 신원섭, 신창섭. 2002. 참나무 임분 토양내 능이 외생균근 집단의 생태적 특징. 한국임학회지. 91(4):457-464.
  5. 박완희. 2007. 한국의 버섯. 교학사 pp. 126-127.
  6. 서홍덕, 허태철, 주성현. 2009. 달걀버섯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국균학회지 37(1):41-48. https://doi.org/10.4489/KJM.2009.37.1.041
  7. 이창복. 2006.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8. 이지열. 1988. 원색한국버섯도감. 아카데미서적.
  9. 이훈영. 2006. SPS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청람 pp. 283-306.
  10.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694-700.
  11. 허태철, 박현, 가강현, 주성현. 2004. 송이 균환부에서 토양 이화학적 특성의 동태. 한국임학회지 93(1):26-34.
  12. Daza, A., Manjon, J. L., Camacho, M., Romero de la Osa. L., Aguilar, A. and Santamaria, C. 2006. Effect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pH and temperature on in vitro culture of several isolates of Amanita caesarea(Scop.:Fr.) Pers.. Mycorrhiza 16:133-136. https://doi.org/10.1007/s00572-005-0025-6
  13. Hall, I. R., Stephenson, S. L., Buchanan, P. K., Yun, W. and Cole, A. L. J. 2003. Edible and Poisonous Mushrooms of the World. Timber Press.
  14. Heijden, M. G. A. and Sanders, I. R. 2003. Mycorrhizal Ecology. pp. 33-74. Springer.
  15. Meotto, F., Mello, A., Nosenzo, C. and Vezzola, V. 1997.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manita caesarea ectomycorrhizas. Allionia 35:87-93.
  16. Meotto, F., Pellegrino, S. and Bounous, G. 1999. Evolution of Amanita caesarea (Scop.: Fr.) Pers. and Boletus edulis Bull.: Fr. Synthetic ectomycorrhizae on European chesnut (Castanea sativa Mill.) seedlings under field conditions. ISHS Acta Hortic 494 : 201-204.
  17. Mycobank.org. httpL//www.mycobank.com.
  18. Page, A. L. 1982.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2nd edition. Amer Society of Agronomy.
  19.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oeltz Sci. Koenigstein.
  20. Smith, S. E. and Read, D. J. 2009. Mycorrhizal symbiosis. pp. 191-268.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