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aesil Seo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조선왕실(朝鮮王室) 태실석함(胎室石函)의 현황(現況)과 양식변천(樣式變遷)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ronology of Taesil Seokham(Taesil Stone Boxes) stored in Taesil of the Joseon Palace and classify the styles to discuss how these boxes have developed. By doing so, this study defined the archaeological styles of taesil seokhams in the chronological order. Although taesil seokhams are placed when taesil are first created, they do not have any texts engraved on them and it is difficult to gain information only from examining taesil seokham. However, Taejiseok(memorial stones buried in Taesil) and Agibi(gravestones buried in Taesil) were created along with taesil. These resourc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literature records to find when each taesil seokhams was created. The critical elements to consider for the chronological arrangement were both the cover and container of the boxes and the transition of their style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major stages. In detail, the Joseon Dynasty's taesil seokhams initially inherited the style of the Goryeo Dynasty to be formed into rectangular boxes.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mid and late 15th Century, the semi-circular cover with cylindrical container became the popular style in the late 15th Century. In the late 16th Century, th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was further developed to add some decorative elements, such as projecting ornaments, but the ornaments were added for functional purposes rather than artistic purposes. However, the style went back to the semi-circular cover with cylindrical container in the early 17th Century. From the mid 17th Century, various styles appeared with ornaments only on the cover, cone-shaped cover with no ornament, or mortar-like container. However, a new style of cone-shaped cover with ornament emerged between the early and mid 18th Century and continued to stay until the mid 18th Century. In the mid 18th Century, the cover remained unchanged, but the container became a keyhole-shaped space with one side forming a "ㄷ" shape. However,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most typical style of the semi-circular cover with cylindrical container reappeared to show that this is the most universal style. Last, in the mid 19th Century, the cover changed from semi-circular to rectangular with flat top. After this, the taesil seokhams began to disappear. In terms of style, i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aesil seokhams were underdeveloped and inherited the style of the Goryeo Dynasty (Stage I; 1401~mid-15C), but Joseon's unique style began to develop from the late 15th Century (Stage II; 1477~1641). After that, partial ornaments were added for adornment (Stage III; 1660~1754), but the typical style reappeared in the late 18th Century to finally degr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of the mid 19th Century (Stage IV; 1790~1874). This arrangement of style and chronology would greatly help archaeologists anticipate the time and owner of taesil seokhams even if only taesil seokhams are discovered without any records. * Tae(胎) : Placenta and umbilical cord * Taesil(胎室) : A facility(chamber) of burying Tae(胎) in rite when royal descendants are born.

본 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태실에 유존하는 태실 석함(이하 태함)의 현황을 살펴보고, 제작연대를 바탕으로 형식을 분류하여 고고학적인 태함의 양식을 설정하고 그 편년을 시도한 것이다. 태함은 태실을 처음 조성할 때 매납하는 유물이지만 명문이 각자되지 않으므로 태함 자체만으로 연구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태실 조성 시 함께 제작하는 태지석과 아기비의 명문을 찾아 살펴보고 문헌기록을 대조하여 그 제작시기를 밝힘으로 인해 태함의 제작시기도 밝혀 낼 수 있다. 먼저, 편년의 결정적 요소는 태함을 구성하는 함개와 함신 모두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태함의 변화와 양식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선 왕실의 태함의 변화는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아 상자형으로 만들었으나, 15세기 중 후엽에 과도기를 거쳐 15세기 후엽에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이 정착하게 된다. 그리고 16세기 후엽에는 앞 시기의 양식에서 발전하여 태함에 돌기가 부착되는 등 장식성이 가미되나, 이는 예술성보다는 기능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이 다시 17세기 초에 재현되며, 17세기 중엽 후부터는 함개에만 돌기가 있거나 무보주의 원추형 함개 또는 절구형의 함신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 과도기의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다시 보주가 부착된 원추형 함개라는 새로운 양식이 18세기 전엽~18세기 중엽 초에 출현하며, 이것이 다음 시기인 18세기 중엽까지 지속되나, 함신의 감실이 일단벽호형의 방형으로 바뀐다. 계속해서 18세기 중엽에는 함개는 앞 시기의 양식을 유지하나 함신은 감실이 다시 한 면이 ㄷ모양의 열쇠구멍형으로 변화한다. 하지만, 18세기 말에 와서 다시 가장 전형적인 양식인 반원형 함개 원통형 함신의 태함이 재출현하여 태함의 양식이 이 형태가 가장 정형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19세기 중엽에는 함개가 반원형에서 상부가 편평한 장방형의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여 쇠퇴기를 맞는다. 그리고 이를 다시 양식상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선 초에는 태함이 아직 정형화되지 않아 고려시대의 양식을 이어받았으나(I단계; 1401~15C 중엽), 15세기 후엽부터는 자체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정형화되고(II단계; 1477~1641), 시기가 지나면서 다시 일부 돌기나 보주가 부착되는 등 장식성이 가미되나(III단계; 1660~1754), 결국 18세기 말에는 정형화된 양식이 재출현하다가 조선 말기인 19세기 중엽에는 간략화되어 쇠퇴과정을 겪게 되는 것(IV단계; 1790~1874)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태함의 양식과 편년 결과는 문헌기록이 부족한 상태에서 앞으로 태실지에서 태함만 확인되더라도 그 조성시기와 주인공이 누구인지 밝혀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