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콩 생산국의 생산변동 조정유형과 무역전이효과 분석

Adjusting Patterns of Production Fluctuation and Trade Transmission Effect of Major Soybean Production Countries on World Market

  • 임정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안동환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장석진 (국제원산지정보원)
  • Im, Jeong-bin (Dept. of Agric. Econ. & Rural Develop., Seoul National Univ.) ;
  • An, Dong-hwan (Dept. of Agric. Econ. & Rural Develop., Seoul National Univ.) ;
  • Jang, Suk-Jin (Korea Institute of Origin Information)
  • 투고 : 2010.02.22
  • 심사 : 2010.04.20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입 곡물인 콩의 주요 교역국들의 생산, 소비, 무역 및 재고 동향과 각국의 생산변동에 따른 조정유형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국제시장 전이효과를 계측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콩의 국제시장 전이효과가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 파라과이,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재고보다는 소비와 무역을 통해 생산변동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 콩시장의 불안정성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콩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일정량의 국내생산기반 유지, 적절한 재고정책의 활용, 선물시장의 활용,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해외조달능력의 향상을 통한 안정적인 국내 콩 수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djusting patterns of production fluctuation of major soybean production countries. In particular, we focus our attention on the trade transmission effect of major soybean production countries on world market. We found that the instability of world market for soybean is likely to be increased mainly due to the production fluctuation and trade transmission effect of major production countries, e.g. Brazil, Paraguay, and Canada. Most of the major production countries have adjusted the production fluctuation through consumption and trade rather than inventory management, and hence the instability of world market for soybean tends to be more instable.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effective policy measures for making domestic soybean market more stable such as a plan for keeping domestic production, a valid inventory management strategy, a use of futures market, and a strategy to diversify import market as a large importing country.

키워드

참고문헌

  1. Bigman, D. 1985. Food policies and food security under instability: Modeling and analysis, Lexington Books. Lexington.
  2. Jeong Bin Im, Doo Bong Han. 2005. Quantifying World Market Transmission Effect of Production Variability in Major Wheat Trading Count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9: 331-348.
  3. Jeong Bin Im, Doo Bong Han, Jin Kyo Suh. 2005. Quantifying Transmission Effect of Major Rice Production Countries on World Market and Policy Impl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7: 225-231.
  4. Myung Hwan Sung. 2001. Tests for Stability of World Production and Price of Food Grains.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 28: 475-491.
  5. Storey, G, A Schmitz and A. Sarris. 1984.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Westview Press.
  6. Stephen, M. and J. Sharples. 1993. Global Grain Stocks and World Market Stability Revisited. The Environment, Government Policies, and International Trade. USDA-ERS Staff Report. 248-272.
  7. 김경덕, 김태훈, 전상곤, 이정환. 1999. 농업전망시뮬레이션모형 KREI-ASMO9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명환, 김혜영. 2005. 콩 수매제도의 효율성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박동규, 김태훈, 채상현, 사공용. 2007. 중장기 쌀 수급안정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사공용. 2006. 공급량 변화에 따른 쌀 가격변화의 계측. 농업경제연구. 47: 1-16.
  11. 성명환, 이규천, 이중웅. 2000. 21세기 식량안보 확보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안병일. 1999.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가격구조 분석. 농촌경제. 22: 101-114.
  13. 이판용, 송두한. 2008. 국제 곡물 수급요인 분석과 향후 가격 전망. 농협경제연구소.
  14. 임송수. 1999. 식량안보에 관한 쟁점 검토. 농촌경제. 22: 45-64.
  15. 최세균, 김동민, 임정빈, 이재옥. 1993. UR 이후 세계 곡물시장의 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