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uel Marginal Price for Biomass Power Plant - On the Basis of China Biomass Power Plant -

바이오매스 발전소 연료한계단가 분석 - 중국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중심으로 -

  • Kim, Cheol (The Corporate Course for Climate Change, Sejong University) ;
  • Sa, Jae-Hwan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Dong-Shin University) ;
  • Kim, YunSoung (Climate Change Research Center, Sejong University) ;
  • Jeon, Eui-Chan (Dept. of. Environment and Energy, Sejong University)
  • 김철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협동과정) ;
  • 사재환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
  • 김윤성 (세종대학교 기후변화센터) ;
  • 전의찬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Received : 2010.12.08
  • Accepted : 2011.01.2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is analyzed the financial feasibility of biomass power plant in China in terms of fuel marginal price of biomass power plant. The range of fuel price is 150~300 RMB and IRR(Internal Rate of Return), NPV(Net Present Value), DSCR(Debt Service Coverage Ratio) and operation time are analyzed by 10 RMB from 150 RMB. The sensitivity of IRR went down by 1.35 on average. The sensibility of NPV showed big difference by 20% on 260 RMB and 270 RMB. In addition, DSCR of loan is at 1.0 at raw cost of 242 RMB and at lower than 1.0 when the raw cost over 242 RMB. It means that the pay-off of principal and interest of the loan is expected to be difficult in that case. The operation time of power plant should be 88% against standard operation time to maintain over 1.0 of DSCR.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st of raw material to build the power plant and to operate it should be prioritized.

본 논문은 바이오매스 발전소 연료 단가에 대하여 중국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중심으로 경제성 분석을 통해 연료 한계 단가를 연구하였다. 연료 단가 범위는 150~300위안으로 하였으며, 150위안부터 10위안 차이로 증가시켜 내부 수익률, 순현재가치, 부채상환계수, 적정 운전 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 수익률 민감도는 평균 1.35%로 일정하게 수익성이 감소되었으며, 순현재가치민감도는 연료 단가가 260위안과 270위안에서 20%로 가장 큰 차이를 발생하였다. 또한 타인 자본에 대한 부채상환계수는 연료 단가가 242위안일 경우 1.0으로 나타났으며, 이 이상의 단가에서는 타인 자본에 대한 안정적인 원금과 이자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발전소 가동 시간은 기준 가동 시간 대비 약 88%의 가동율을 확보해야 부채상환계수 1.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소 건설 및 운영시 연료 단가가 미치는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KE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