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전반 장흥(長興) 노력도(老力島) 대동결(大同契)의 조직과 운영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Daedonggye in Noryeokdo, Jangheu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투고 : 2010.05.30
  • 심사 : 2010.07.20
  • 발행 : 2010.07.30

초록

이 글은 20세기 전반 어촌 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지역은 전남 장흥군 회진면의 부속도서인 노력도(老力島)이다. 노력도는 농사를 지을만한 평지가 없다. 그래서 예로부터 노력도 사람들은 어업에 종사하여 섬에서 경제생활을 영위하였다. 이러한 노력도 주민들의 생활상을 담고 있는 마을 공동체 조직 문서가 현전한다. 바로 '노력대동계'와 '노력어촌계' 자료이다. 노력도 대동계 문서의 상한연대는 1925년이고, 2009년 현재 계원 67명이 대동계에 참여하고 있다. 노력도 사람들의 주 소득원은 해산물이다. 특히 삼동(三冬)에 생산되는 해의(김)는 육지 사람들의 농사를 대체하는 산물이었다. 노력도의 해의(김) 생산은 1920년대 '부흥발'을 개발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1930년대에 전국 김 생산 1위를 차지할 만큼 전성기를 누렸다. 그 후 1970년대에 노력도 사람들은 마을 토산물을 해의(김)에서 미역으로 교체하였다. 해의(김)와 미역은 마을 공동체 어장인 '마을-땅', '해태장', '미역장'에서 생산되었다. 노력도 사람들은 '해태장'과 '미역장'에서 공동작업 공동분배를 원칙으로 하여 누대로 마을 공동체를 운영해왔다. 20세기 전반 노력도 사람들은 왜 대동계 조직을 필요로 하였을까? 오늘날까지 장기 지속 가능하였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현전하는 노력도 대동계 문서를 통해 어촌 공동체의 운영 실태를 제시하였다.

The studies on Daedonggye(大同契), by this time, have been mainly researched focusing on the ruling system of country villages related to 'King(王)-local governor(守令)-noble family(士族)' in Chosun Period. The result of it is that i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reveal the operation of country society and substance of the ruling class but made it wholly lacking studying on the organization of Daedonggye in fishing villages especially and the social structure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 residents in Noryeokdo have operated Daedonggye for about 80 years from 1925 up to now. Anyone who is a householder in Noryeokdo has been a participant in a member of it. The reason is that the participation in Daedonggye is the most basic requisite to lead the community life of the fishing village. I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at the residents operated their Daedonggye in what way in the 20th century and what motive made them keep it prolonged for a long time up to the 21th centur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