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urces of Jang Hyeongwang's Theories of Li and Ch'i

장현광 성리설의 연원에 대한 고찰 - 나흠순 성리설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11.20
  • Accepted : 2010.12.0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Jang Hyungang(張顯光, 1554~1570) was one of the very famous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 the Chosun dynasty. Jang, nevertheless, refused to accept Toegye's theory and had developed his own theory called li-qi-gyeong-wi-seol(理氣經緯說). So the theory was very uniqu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He matained that Tao(道), meaning the universal process which all beings including the human must follow, is accomplished by the unity of li(理, principle) and qi(ch'i, 氣, material force). He compared li and qi to warp(經) and woof(緯). According to his explanation, Tao is fulfilled by combining li and qi, as a textile is woven the combination of warps and woofs. He could, for I know, succeed to emphasize the unity of li and qii through this theory. Lots of Scholars in the Chosun dynasty criticized Jang's theory of li and qi for regarding li and qi as one, and thought that the theory originated from Luo Ch'inshun(羅欽順, 1465~1547), a famous Neo-Confucianist of in Early Ming China. Luo Ch'inshun maintained li-qi metaphysical monism that li and qi is united entity. In this respect, it seems that Jang's theory is similar to Luo's. However, I think that there are ver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t is true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ang's theory is the unified relations between li and qi in this world. In the system of his philosophy, nevertheless, the topological position of li and qi are different in grade each other. Jang insisted that li is a supreme being to be materialized and realized through the movement of qi'in the process of universal development. Qi is accordingly only a kind of matter which completes li. In this sense, Jang's theory can be regarded as li metaphysical monism that li is the only substance. It means that Jang Hyeongwang's theory is a great contrast to Luo Ch'inshun's li-qi metaphysical monism.

나흠순의 이기일물론과 인심도심성정설은 장현광의 성리설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리기불상리의 원칙에 충실하다는 점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없지 않다. 그러나 장현광의 이기경위설은 나흠순의 이기일물설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첫째, 장현광이 리와 기가 두 가지 존재가 아님을 강조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이론체계에서 리와 기는 내용적 일치의 관계에 있지 않다. 둘째, 장현광의 철학체계에서 최고 범주는 어디까지나 리라는 점이다. 그의 이기론이 지닌 이러한 특징은 나흠순의 이기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면모이다. 장현광이 도심을 성, 인심을 정으로 본 것은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의 영향이 분명하다. 다만 그는 체는 용을 겸할 수 있다는 논리로 도심이 미발뿐만 아니라 이발도 겸한다는 논리를 펼쳤기 때문에 그의 인심도심설이 나흠순의 설의 단순한 답습이라고 하기 어렵다. 더욱이 공과 사를 기준으로 도심과 인심을 구분한 인심도심공사설은 인심과 도심을 모두 이발의 정 층위에서 이해했다는 점에서 나흠순의 인심도심성정설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그렇다면 장현광 성리설의 형성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한 마디로 장현광의 철학이론은 호발설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주된 철학적 관심사는 리(사단 도심)와 기(칠정 인심)를 두 근본으로 여기는 학설을 비판하고 리와 기를 하나로 통합하는 철학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결국 리기경위설로 대표되는 그의 성리설은 당시 조선유학계의 학문적 상황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었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