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al Study for Preliminary Model for Consulting School Curriculum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모형의 시론적 개발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1.0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for preliminary model for consulting school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goal, the meaning of school-based curriculum, supervision of school curriculum, supervision of curriculum consulting are examined. Second, The condition for supervision of school curriculum is reviewed in line of curriculum context. They are discussed problem of supervision in Korea through the diagnosis of present condition. Third, Model development for the consulting in the school curriculum is attempted for building creative curriculum management. Finally, the conception of school curriculum consulting, feature of model, and the item of actual applications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2008). 교사의 내러티브 경험에 기초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및 교과서 컨설팅 방안, 교육연구 2008-01,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 교육부(1992). 초․중등 교육과정 해설서.
  3. 교육부(1997). 초․중등 교육과정 해설서.
  4. 교육과학기술부․충청남도교육청(2009). 2009 교육과정컨설팅 지원단 제2차 워크숍 자료.
  5.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6. 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 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21(1), 347-369.
  8. 김인식․최호성(1998). 현대 교육과정과 고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9. 김정원․손연아․최금진․안세근(2004). 학교컨설팅 가능성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김정원․유균상․강영혜․정수현․김미숙․손연아․박은실․박영훈․이윤미․이명실(2002). 학교 교육개혁 지원을 위한 학교 컨설팅 사업 (I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김정원․이인효․정수현(2001). 학교 교육개혁 지원을 위한 학교 컨설팅 사업(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김종서(1985). 교육과정과 수업, 서울: 배영사.
  13. 김호권․이돈희․이홍우(1977). 현대교육과정론, 서울: 교육출판사.
  14. 남정걸(1998). 장학과 교육과정 개발.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제2집, 19-51.
  15. 박상완(2008).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6(2), 343-362.
  16. 박효정(2009).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보고 RR 2009-32. 한국교육개발원.
  17. 손충기(2000). 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SBCD)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제19집, 195-217.
  18. 이윤식(1999).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19. 이화진.오상철.홍선주(2007). 수업 컨설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제10집, 33-63.
  20. 조민호․설공증(1999). 컨설팅 프로세스, 서울: 도사출판 새로운 제안.
  21. 진동섭(2003). 학교컨설팅, 서울: 학지사.
  22. 진동섭․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3(1), 1-25.
  23. 최호성(1996).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교육과정연구, 14(1), 78-105.
  24. 함수곤, 김찬재(2007). 교육과정 장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5. 허병기(1997). 장학의 본질이탈: 개념적 혼란과 실천적 오류, 교육학연구, 35(3), 181-212.
  26. 홍창남(2002). 학교경영컨설팅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후조(1998).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28. 황규호(1995). 학교 단위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교육과정연구, 13권, 25-38.
  29. Goodlad, J. D.(1966). The Changing School Curriculum. New York: Macmillian.
  30. Lewy, A.(1991). National a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UNESCO: IIEP.
  31. Ross, J. A. & Reagan, E. M.(1990). Self-reported strategie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curriculum consultants: Exploring differences. The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6(2), 157-80.
  32. Skilbeck, M.(1976).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OECD Mimeograph.
  33. Skilbeck, M.(1984).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London: Harper & Row.
  34. Short, E. C.(1990). Forms of Curriculum Inquiry. New York: SUNY Press.
  35. Tanner, D. & Tanner, L. N.(1980).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 New York: Macmill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