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외상성 복강 내 출혈 환자에서 비장 부피의 순차적인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상 후 복강 내 출혈이 있었던 환자 중 초기 CT, 30일 이내의 조기 추적 CT, 그리고 30일 이후의 후기 추적 CT를 시행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CT에서 비장의 부피를 측정하였고, 후기 추적 CT의 비장부피를 기준으로 초기 및 조기 추적 CT에서의 상대적 비장 부피를 계산하였다. 복강 내 출혈의 면적을 기준으로 복강 내 출혈 점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초기 CT 및 조기 추적 CT에서의 상대적 비장 부피의 평균은 각각 62.0% 및 133.3% 이었고, 모든 환자에서 초기 CT보다 조기 추적 CT에서 상대적 비장 부피가 증가하였다. 초기 비장 수축이 18명(90.0%)에서 있었고, 조기 비장 비대는 14명(70.0%)에서 보였다. 초기 비장 수축과 조기 비장 비대를 보인 환자가 가장 많았다(12명, 60.0%). 결론: 생리적 비장 수축은 복강 내 출혈 환자의 대부분에서 보였고, 이후 비장의 부피가 정상으로 되기 전에 조기 비장 비대가 흔하게 나타났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serial changes of the splenic volume in patients with traumatic intraperitoneal hemorrhage. Materials and Methods: 20 consecutive patients with traumatic intraperitoneal hemorrhage and who underwent initial CT, early follow-up CT within 30 days and late follow-up CT examinations thereaf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volume of the spleen on each CT examination was measured and the relative splenic volume (RSV) on the initial and early follow-CT examinations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plenic volume on the late follow-up CT. The hemoperitoneum scor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ize of the intraperitoneal hemorrhage. Results: The average RSVs of the initial and early follow-up CT were 62.0% and 133.3%, respectively, and all the patients showed an increase of the splenic and relative splenic volumes on the early follow-up CT, as compared with those on the initial CT. Initial splenic contraction was seen in 18 patients (90.0%) and early splenomegaly was seen in 14 patients (70.0%). Patients with initial splenic contraction and early splenomegaly were the most common (12 patient, 60.0%). Conclusion: Initial physiologic splenic contraction was seen in most of the patients with hemoperitoneum, and thereafter early splenomegaly was commonly seen before normalization of the splenic vo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