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various tear configurations in a medial meniscal posterior horn root tear and assess whether any correlation exists with other associated knee abnormalities in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146 preoperative knee MR images were performed by one experienced musculoskeletal radiologist. The tear configuration and other abnormalities were evalu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each configuration in the medial meniscal posterior horn root tear were calculated. Results: A total of 48 medial meniscal posterior horn root tears including 38 full-thickness radial, 7 partial-thickness radial, and 3 complex tears were confirmed during arthroscopy. Overall,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the detection of medial meniscal posterior horn root tear were 92% (44/48), 99% (97/98), and 97% (141/146), respectively. For each tear configuration,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82% (31/38), 97% (105/108), and 93% (136/146) for full-thickness radial tears, respectively, and 43% (3/7), 94% (131/139), and 91% (134/146) for partial-thickness radial tear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joint disease was 85% (41/48) for the tear group, revealing a strong association. In patients with a root tear and with degenerative joint disease, the incidence of high grade cartilage defects involving the medial femoral condyle was at 80% (33/41), compared to 56% (23/41) for the presence of medial meniscal extrusion. In contrast, a similar comparison of incidence for patients with no root tears but with degenerative joint disease was at 68% (17/25) and 26% (8/31), respectively. Conclusion: MR imaging is very sensitive for the detection of medial meniscal root tears, but has reduced the accuracy with regard to each tear configuration. Medial meniscal root tears showed a strong association with degenerative joint disease. High grade cartilage defects of the medial femoral condyle and medial meniscal extrusions also reveal a strong association with medial meniscal root tears.
목적: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의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의 형태에 따른 진단 정확도 및 열상과 관련된 슬관절의 비정상적인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관절경 수술 전 시행한 146개의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1명의 숙련된 영상의학과 의사가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난 반월판 열상의 형태와 열상과 관련된 슬관절의 비정상적인 소견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관절경 소견과 비교하였다. 관절경에서 확인된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의 각 형태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총 48개의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이 관절경 시술에서 확인되었으며, 이중 38개는 전체 층 횡열상, 7개는 부분층 횡열상, 3개는 복합열상으로 진단되었다. 열상형태와 관계없이,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 전체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92% (44/48), 99% (97/98), 97% (141/146)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월판 후각 열상 중에서 전체 층 횡열상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82%(31/38), 97%(105/108), 93%(136/146)였으며, 부분 층 횡열상의 경우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43%(3/7), 94%(131/139), 91%(134/146)였다.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에 있어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 질환의 발생 빈도는 85%(41/48)로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퇴행성 관절 질환이 동반된 반월판 후각 열상 환자에 있어서 대퇴 안쪽 관절 융기의 연골 결손의 발생 빈도는 80%(33/41)였으며 내측 반월판 연골 탈출은 56%(23/41)에서 동반되었다. 반면 퇴행성 관절 질환이 있었으나 반월판 열상이 없었던 환자군에서는 각각 68%(17/25)와 26%(8/31)로 그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의 정확도는 매우 높다. 반면 열상의 형태별 진단 정확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 질환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대퇴안쪽 관절 융기의 연골 결손과 내측 반월판 연골 탈출 또한 내측 반월판 후각 열상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