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해안사구 분포 현황과 기능특성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0.03.03
  • Accepted : 2010.04.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Coastal sand dunes are dynamic and fragile buffer zones of sand and vegetation where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large quantities of sand, persistent wind capable of moving sand, and suitable locations for sand to accumul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astal sand dunes include the roles in sand storage, underground freshwater storage, coastal defense, and ecological environment space, among others. Recently, however, the integrity of coastal dune systems has been threatened by development, including sand extractio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military usage, conversion to golf courses, the building of seawalls and breakwaters, and recreational facility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development mechanisms and structural/format types of coastal sand dunes, as well as their functions and value from the perspective of coastal engineering based on reviews of previous researches and a case study of a small coastal sand dun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Existing data indicate that there are a total of 133 coastal sand dunes in South Korea, 43 distributed on the East Sea coast (32 in the Gangwon area, and 11 in Gyeongsangbuk-do), 60 on the West Sea coast (4 in Incheon and Gyeonggi-do, 42 in Ghungcheongnam-do, 9 in Jellabuk-do, and 5 in Jellanam-do), and 30 on the South Sea coast (16 in Jellanam-do, 2 in Gyeongsangnam-do, and 12 in Jeju).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2003).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68-577.
  2. 강대석.남정호.정용현(2005). 경기만 한강하구역의 지속가능 발전지표 개발과 적용,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지, 17(2), 155-169.
  3. 국립공원관리공단(태안해안사무소)(2007).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사구 훼손지 복원사업 추진 보고서.
  4. 김성환.서종철.박경(2008). 수문과 지형특성에 의한 신두리 해안사구 습지의 유형분류, 한국지형학회지, 15(3), 107-118.
  5. 민병미(2004). 우리나라 해안사구 식생의 특성, 자연보전, 128, 17-28.
  6. 박경(2002). 동해안 사구, 자연보전, 117, 25-31.
  7. 박경(2007). 해안사구의 편년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41(2), 139-149.
  8. 서종철(2004).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67-681.
  9. 서종철(2008). 해안사구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과 기준 개발, 대한지리학회 2008년 학술대회논문집, 69-71.
  10. 오건환(2001). 낙동강 하구 갯벌: 지형,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 출판부, 505-519.
  11. 오승환.김혁진(2008). 남해안 및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5), 374-387.
  12. 오현경.김영하.변무섭.박준모(2005).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1), 37-48.
  13. 우한준(2001). 서해안 해안사구 실태 및 보전 방안, 자연보전, 115, 16-21.
  14. 유근배.류호상, 한국 서해안의 해안사구(지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5. 윤한삼.유창일.강윤구.류청로(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2), 22-34.
  16. 윤한삼(2010). 해안사구의 이해와 그 중요성, 월간 해양정보, 38-49.
  17. 이우철.전상근.김준민(1982).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동해안의 사구 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에 관하여, 강원대학교 논문집, 16, 113-124.
  18. 이우철.전상근(1984).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서해안의 사구식물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 74-84.
  19. 이철응(1996). 연안사주의 특성이해,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8(1), 61-71.
  20. 정용규.김종원(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3), 257-262.
  21. 한태홍(1998). 제주도 연안 해빈과 사구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5(1), 73-87.
  22. 환경부(2002a). 해안사구 보전.관리지침.
  23. 환경부(2002b). 해안생태계 복원 지침서-해안의 갈대우점 습지와 사구를 중심으로.
  24. French, P.W.(2001). Coastal Defences: Processes, Problems, and Solutions, Routledge.
  25. Psuty, N.P..Ofiara, D.D.(2002). Coastal Hazard Management: Lessons and Future Directions from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26. Short, A.D. and P. Hesp(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259-284. https://doi.org/10.1016/0025-3227(82)9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