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 보전지역 설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Criteria for Setting Natural Conservation Area

  • 성현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황소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 채미옥 (국토연구원) ;
  • 박은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투고 : 2010.04.15
  • 심사 : 2010.06.11
  • 발행 : 2010.12.31

초록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nd securing an adequate distance from development activities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efficiently or developing an improvement plan for setting conservation areas. Findings from the study shows that 1) rather than simply designating a legal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 conceptual scope approach of a "core area", "buffer area", and "transition area" such as in zoning of a "biosphere reserve" by UNESCO is recommended; 2) when setting an adequate range in 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it should be set by fully considering locational situation and the region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surroundings rather than setting a certain distance uniformly; 3) instead of designating wetlands only as a conservation area, entry and exit areas should be also included as buffer areas and in the case of wild animals, not only habitats but also feeding areas should b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reas; and 4) an adequate horizontal separation spac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ground development, but for natural resources related to subterranean water and geological situation such as wetlands, an adequate vertical separation space should be fully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공경자. 2005. 연안습지 보전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한국해양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국토연구원. 2000. 자연친화적 국토이용을 위한 자연환경보호구역 관리체계 개선 연구.
  3. 국토해양부. 2004. 토지적성평가에 관한 지침.
  4. 박수진. 2007. 연안습지의 체계적 보전을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고찰. 한국해양수산연구회통권 277호 21-36.
  5. 박용수․김대회․조동길․김귀곤. 2006. 개발예정지역에서의 서식지 가치평가를 통한 보전 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3):26-38.
  6. 박태윤․이동근. 1997. 연안습지의 보전 및 효율적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 변병설. 2001.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의 자연환경 보전전략. 국토지리학회지 35(2):101-114.
  8. 상명대학교. 1997. 연안습지의 현황조사와 보전가치에 대한 경제성 평가.
  9. 성현찬. 2007. 경기도의 개발사업 유형별 환경친화적 개발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0. 윤익준. 2007. 습지의 보전 및 관리 법제에 관한연구. 한양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관규․성현찬․최재용. 2007. 자치단체지역의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보전지역 설정. 한국 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5):1-9.
  12. 이명우. 1997.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생태환경 분석 및 적지분석: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6(2):61-80.
  13. 이상돈. 2000. 습지보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한국습지학회지 2(1):1-9.
  14. 이상돈. 2003.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5(1):1-13.
  15. 이우성․박경훈․정성관․유주한․김경태. 2009.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52-68.
  16. 이찬원․윤성윤. 1999. 습지보전에 관한 고찰. 한국습지학회지 1:71-76.
  17. 장동호․김만규. 2009. 안면도 해안지형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2):49-67.
  18. 한강유역관리청. 2007. 한강 하구 습지보전계획수립 연구.
  19. 함동선. 2007. 늪지 및 계곡수와 터널공사의 상관성분석. 충남대산업대학원.
  20. 환경부. 2000. 사전환경성 검토 업무 편람.
  21. 환경부. 2001. 토지의 환경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22. 환경부. 2002a.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23. 환경부. 2002b.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4.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25. 환경부. 2007. 도시계획의 환경성 검토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26. 독도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문화재보호법,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한강수계, 산지관리법,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습지보전법, 야생 동식물보호법, 자연공원법, 자연환경보전법.
  27. Canada. 1999. Clayoquot Sound Biosphere Nomination.
  28. Environmental Law Institute. 1997. Enforceable State Mechanisms for the Control of NPS Water Pollution.
  29. US. EPA. 1993. Guidelines for Delineation of Wellhead Protections.
  30. Maryland State. 1986. Chesapeake Bay Critical Area Law.
  31. http://mab.unesco.or.kr/bs_kpeninsula.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