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Japan's leisure Space Policy

일본 여가공간정책 변화 특성 - 생활권 여가공간으로의 전환 -

  • Kim, Hy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40 hours workweek system, an intensive discussion was made among relevant departments. Building facilities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more leisure activities and higher satisfaction for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draft at the trend of leisure policy in Japan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s to set the policy direction best fitting future changes in Korea, as Japan has gone through comprehensive changes ahead of us.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nalyzed key leisure policies of Japan and examined the trend of changes of time.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First, Japan's leisure polici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and six terms. Second, leisure policies in Japan are being established as a local welfare system, not in the context of industrial perspective, to help people in local community. This is to make voluntary move by eliminating the factors that restrict social demand with an effort to expand leisure time and to secure and enhance access to leisure space. Third, Neighborhood leisure space has taken the center stage, in an effort to seek solutions to the issues of improving space utilization, restoring local community and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earch is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recommend the use of the specific term 'leisure' for leisure policies in Korea and for leisure space policies in Korea that are now facing sociocultural challenges similar to the ones emerging in Japan, measures are required to improve physiological access of local residents including information promotion, lifetime education and relationships enhancement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neighborhood leisure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호․박정희. 2006. 노인종합복지관의 역할 에 따른 노인여가 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6:357-363.
  2. 국토개발연구원. 1990. 일본의 餘暇實態와 休日 分散에 관한 조사. 국토정보 8(1):16-19.
  3. 금성혁. 1990. 日本의 餘暇活動現狀과 展望/명지대학교일본문제연구소 일본연구 1:253-279.
  4. 김광득. 1993. 현대여가론. 백산출판사.
  5. 김사헌. 1997. 관광경제학신론. 일신사.
  6. 김선희. 2007. 노인 여가시설 프로그램 현황 고찰. 논문집 25:123-138.
  7. 김성관. 2009.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와 활성화 방안. 평생체육연구소논문집 20:221-231.
  8. 김성진․김현. 2003. 녹색관광활성화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9. 김학만. 2005. 노인복지시설과 프로그램의 적절성 제고방안. 진주산업대학교논문집 34: 47-63.
  10. 김 현. 2004. 노인관광활성화방안. 한국문화관광 정책연구원.
  11. 문화체육관광부. 2008. 국민여가진흥 중장기계획 수립방안.
  12. 박원임. 1991. 餘暇, 레크레이션政策에 관한 比較 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원임. 1995. 일본정책 및 각당의 여가정책에 관한 고찰 高麗大學校師範大學師大論集20: 51-72.
  14. 석미란. 2005. 여가개념의 구조변화와 여가문화의 모색에 관한 연구:일본사회의 고령자 여가 문화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21:167-188.
  15. 신화경. 2007. 성별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생활 특성 및 여가생활 공간에 대한 선호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107-118.
  16. 여박동. 1993. 일본인의 여가의식과 여가문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 啓明大學校日本文化硏究 所日本學誌13:1-22.
  17. 오은미․박경옥. 2000. 청소년의 여가환경이용과 희망 여가공간의 위치구조. 한국생활과학회지 9(3):297-315.
  18. 유성호. 2009. 경로당 발전방안 탐색:경로당 이용경험에 따른 노인들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4):1463-1478.
  19. 윤소영․윤주. 2008.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윤양수․김의식 국토연구원. 2002. 레저행태변 화와 여가공간 조성방안 연구: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1. 이강욱․오훈성. 2007. OECD 주요국 여가정책 사례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2. 이성호. 2008. 여성의 여가활동 참가.자아 효능 감.주관적 규범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20(2):293-311.
  23. 이정재․김현나. 2007. 맛있는 레크리에이션. 대경북스.
  24. 조배행. 2006. 일본 여가 관광시장 추세 분석. 우송대학 논문집 제11집.
  25. 최길성. 1997. 일본의 여가정책과 전통의 창출. 社會科學45(별책특집):45-65.
  26. 최석호. 2005. 한국사회와 한국여가:근대적 대 중여가의 형성과 문명화. 한국학술정보.
  27. 최석호 외. 2007. 네오투어리즘 이론체계 정립.
  28. 한국관광공사. 1997. 일본농가 여가․여행실태. 관광정보 1997:32-49.
  29.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생활권 여가 인프라의 협력체계 구축 및 주민참여방안 연구.
  3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여가백서
  3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여가공간의 정책적 유형화.
  3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국민여가진흥 중장기 계획 수립방안.
  33. 國民生活審議會. 1989. 第12次國民生活審議會綜合政策部會餘暇生活文化委員會中間報告.
  34. 市井吉興. 2006. 前後日本の社會統合とレジャー, 立命館産業社會論叢 42(3):67-86.
  35. 小澤老人. 2008. 團塊世代社會參加取組現狀社 會的位置-中高年層位置<勞動餘暇>變容-, 餘暇學硏究11:26-36.
  36. 三浦雄一郞. 2007.
  37. 薗田石載. 2008. 日本レクリエーション運動史硏究, 餘暇學硏究11:56-65.
  38. 松田義幸. 2006. 脫産業社會に向けての課題(VI) 實蹍大學生活科學部紀要 43:72-91.
  39. 國土交通省. 1988. 經濟聯合運營5五ヶ年計劃.
  40. 國土交通省. 2000. 都市公園健康運動効果調査.
  41. (財)社會經濟生産性本部. 1992. レジャー白書.
  42. (財)社會經濟生産性本部. 2008. レジャー白書.
  43. (財)社會經濟生産性本部. 2009. レジャー白書.
  44. Norbert Elias and Eric Dunning. 1986. Quest for excitement:sport and leisure in the civilizing process. Oxford:Basil Blackwell.
  45. Bittman, M., and Wajcman, J. 1999. The rush hour the quality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PRC Discussion Paper No. 97:1-36.
  46. Oppenheimer, V. K. 1994. Women's rising employment and the future of the family in industrial societi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0:293-342. https://doi.org/10.2307/2137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