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 of Landscape in Korean Rural Village - From Chosun Dyansty to Olympic Games(1988) -

농촌(農村) 향토(鄕土)마을 경관(景觀)의 변화(變化) - 조선 말기부터 올림픽개최 전(1988)까지 -

  • Lee, Shi-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Paichai University) ;
  • Jang, Mi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ty) ;
  • Shim, Joon-Young (Dep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eo, J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 장민 (배재대학교 대학원) ;
  • 심준영 (전북대학교 녹지조경과) ;
  • 허준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terpreting Korean Rural Landscape by applying the analytical tool thus developed to the lifestyles of ordinary people found in their permanent dwellings both before and after Korea first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in 1896. By so doing,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framework with which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ordinary people by exploring the uniqueness and bas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ural Landscape. This study relies primarily on field studies and publications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the televised documentaries, as well as newspapers and scholastic writings and relating to, the agrarian and residential landscapes changed over time. In the Vernacular world, the present does not passively inherit the past. Rather, it is re-born each time, reflecting the society and history of the period. It does not change, but is shaped by the necessities of the period. This may be the reason why there are different Korean Rural Landscapes over a rather short period of time. For instance, the pre-modern Korean Rural Landscape tends to be shaped almost entirely by the nature, while the intention of people begins to find much more expressions in the modern Korean Rural Landscape. As the commodities become more readily available to people thanks to industrialization, such ready availabilit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materials used in, as well as functions of, Rural Landscap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촌 경관의 양상을 일반 농촌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살펴보아 1896년 개항 전후를 기준으로 해서 농촌 향토마을경관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속 경관을 통해 서민들의 정주공간을 대상으로 서민 생활상의 반영체로서의 한국 토속 경관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한국화, 풍속화의 그림 자료와 문헌, 신문 및 텔레비전 영상자료를 사용하여 토속적 특징이 나타나는 장면을 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을 해석하였다. 한국 내에서 지역별 특징적 토속 경관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토속 경관의 지역 간 차별성이 사라지고 있다. 한국 농촌경관은 시대에 따라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농촌 경관이 형성되었으며, 과거 전통적인 농촌경관은 거의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 지향적이며, 현대로 진행될수록 사람의 의지가 생활환경에 강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민의 정주환경에서 나타나는 한국의 농촌 경관은 한국전통의 것에서 많이 변화되었지만, 어느 나라의 것과도 매우 다른 우리만의 고유경관으로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성(1997). 농촌경관의 형성 및 보전. 한국농공학회지. 39(3): 11
  2. 김춘복(1979). 도시문화에 멍드는 농촌. 신동아. 8월호: 202-205
  3. 김한배(1994). 한국도시경관의 변천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
  4. 이규목(1987). 한국 건축의 한국성에 대한 하나의 가정. 공간. p.3.
  5. 이선화, 김유일, 정기호(1998). 서울 가로경관의 시대적 변천. 디자인연구. 경희대 디자인연구원. 1(1): 29.
  6. 이순적(1976). 한국농촌경관의 시각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7. 윤일주(1988). 한국근대 건축사 연구. 기문당. pp.21-22.
  8. 속초시(1973). 73년도 지붕개량사업계획. pp.3-7.
  9. 東桶口 護(Mamoru Tohiguchi)(1996). 木造建築の伝統的設計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計劃論文集 第488号: 177-185.
  10. 佐野吉彦(1986). 建築を語る本から字ぶ - ウアナキュラ-.ブツクスのゆくえ. 建築雜誌 101(1249): 67-69.
  11. Benevolo, E.(1980). The History of City. Massachusetts: M.I.T. Press.
  12. Jackson, J. B.(1991).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Ltd., p.149.
  13. Knapp, R. G. China's Vernacular Architecture.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