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Origin of Stone Tower as a Component of Dangsan Forest - Focus on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

당산숲 구성요소인 돌탑의 기원 유래 고찰 - 안동 서지리 성황당 돌탑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9.06
  • Accepted : 2010.09.24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tower's style through the study of the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The three kinds of stone towers were located forming a line of 9m on the hill of a red pine forest along the stream in the village. Toward the direction looking at the village, the three-story stone located on left, the two-story stone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common style stone tower located on right. The bottom part of the three-story stone was 2.5m in length, 1.8m in width, 1.3m in height. The bottom part of the two-story stone was 1.3m in length, 1.5m in width, 0.9m in height. The common style stone heap tower was 3.0m in diameter, 1.8m in height with a cone shape. The small hat-shaped stone was presumed to be the top part of a three-story stone. According to the three factors(heaven, earth, human) of the idea of the universe in Korea, most ancient remains have components of odd numbers. Then it had been substituted with smaller three-story stone(at present, two-story stone). And then altered to a common stone tower later, such as the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that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Bronze Age's megalithic and a folk religion. The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is a valuable relic that shows the stone towers, and is derived from the Bronze Age. The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shows that the 'Village Shrine at Seoji-ri, Andong' was embodied the three-factor(heaven, earth, human) idea of the universe in three-story stone of megalithic culture' remains.

본 논문의 목적은 삼첩석, 이첩석 및 돌탑으로 이루어져 있는 '안동 서지리 성황당'을 사례로 하여 당산숲의 구성요소인 돌탑의 조형 양식에 대한 유래와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세개의 돌탑은 옛당산숲으로 보이는 마을 안쪽의 개천변 소나무 동산 정상에 있다. 세 돌은 일직선상으로 9m 거리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을 바라보며 왼쪽에 삼첩석, 가운데에 이첩석, 오른쪽에 돌탑이 있다. 삼첩석의 제일 아래 쪽은 길이 2.5m, 폭 1.8m, 높이 1.3m이고, 이첩석의 아래 자연석은 길이 1.3m, 폭 1.5m, 높이 0.9m이다. 돌탑은 지름 3m의 원추형에 높이 1.8m로서 작은 돌을 쌓은 것인데, 일명 '모관석'은 현재 이첩석의 맨 위에 있던 것이 떨어져 나간 것으로서, 현재의 이첩석은 원래 삼첩석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 까닭은 우리나라 고대 조형 방식의 원리인 삼재사상(三才思想)에 비추어 볼 때, 짝수로 이루어진 조형물은 예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안동 서지리 성황당'이 청동기시대의 거석문화와 후대의 민간신앙이 이어져 오는 과정을 보여 주는 예가 되는 것과 같이, 시기적으로 볼 때 돌탑은 청동기시대의 거대석인 왼쪽의 삼첩석을 기원으로 하고, 가운데에 위치한 좀 더 작은 크기의 삼첩석(현재는 이첩석)을 거쳐, 후대에 오른편에 있는 작은 크기의 보통 돌탑으로 그 조형 양식이 변화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서지리 성황당'은 돌탑의 기원이 청동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귀중한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고여빈, 장일영, 노재현(2010). 古代 磨崖三尊佛에서 찾는 三才美의 構成比: 충남 서산 마애삼존불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72-80.
  3. 국립민속박물관(2007). 한국의 마을신앙(상.하). 국립민속박물관 보고서
  4. 권진량(2003). 세월 속에 묻힌 순간의 추억들. 안동: 도서출판 성심.
  5. 김덕현(1986). 전통촌락의 洞藪에 관한 연구: 安東 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제13호: 25-33.
  6. 김영모, 진상철(2002). 神仙思想에 영향 받은 傳統 造景文化의 展開樣相에 관한 연구: 古代時代의 造景文化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3): 78-91.
  7.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학범, 장동수(1993). 古文獻에 나타난 한국마을숲의 始原에 關한 硏究. 한국정원학회지. 11(1): 19-40.
  9.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10. 노재현, 허준, 장일영(2010). 논산 노성산(魯城山)의 입석(立石) 분포와 총석사(叢石寺) 수석(樹石)의 정원적 면모. 문화재. 43(1): 160-188.
  11. 류제헌(1980). 農村景觀의 形態的 硏究: 驪州.利川地方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2. 문화재청(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강원도.경상북도.경상남도 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13. 박재철(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14. 민경현(1989). 특집 : 韓國庭苑史(1) 先史時代: 들의 發生과 巨石文化의 變遷.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 345-347.
  15. 민경현(1998). 韓民族의 陰陽과 三才思想이 남긴 不等邊三角의 空間文化.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3): 95-107.
  16.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17. 신상섭, 노재현, 박재철, 허준, 김홍균, 정명철, 유기종(2008). 호남의 아름다운 마을숲.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조경도시디자인학과 보고서.
  18.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樓.亭.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 157.
  19. 오종근(1998). 장수지방 민속문화. 장수: 장수문화원.
  20.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藪)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21. 이상훈(2003). 진안지방의 탑신앙. 진안: 진안문화원.
  22. 이상훈(2005). 마을 숲의 사회학적인 의미: 진안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pp.23-51.
  23. 장동수, 이규목(1997). 경주.포항시 전통도시숲(읍수.임수)의 보존과 관리,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1): 1-15.
  24. 최원석(2004).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편,"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76-103.
  25.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26. 최재웅, 김동엽(2003)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 171-181.
  27. 최재웅, 김동엽(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28. 최재웅(2009).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42(1): 188-209.
  29.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박광래, 강방훈(2010). 당산숲 구성요소인 돌탑의 유래 사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139-143.
  30. Eckardt, Andre(1929). Geschichte der koreanischen Kunst. 권영필 역(2003). 에카르트의 조선미술사. 서울: 열화당.
  31. http://www.tourandong.com/(안동시청-문화관광 홈페이지)
  32. http://www.cha.go.kr(문화재청 홈페이지)
  33.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id=200503 24025001&keyword=안드레%20에카르트(인터넷 서울신문-1920년대 조선의 민담.풍습 오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