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a Landscaping Plant - Focused on Analysis of Ol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

조경식물 파초(Musa basjoo) 식재 양상과 그 의미 - 조선시대 옛 그림 분석을 중심으로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Young-Suk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Goh, Yeo-Bi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고여빈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5.26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er the 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of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by analyzing the planting tendency and planting location of Musa basjoos drawn in total 77 old paint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where Musa basjoos appeared, while trying to understand symbolic meanings of floral languages as well as the image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s which appeared in the prose and poetry of Chosun Dynas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its floral languages of 'waiting', 'parting' and 'beauty', Musa basjoo represented the wealth and resuscitation and it aroused the elegance of hermits in its Taoistic sense. And it also represented 'the unworldliness to get out of transient human affairs' in its Buddhistic sense. Musa basjoos which appeared in 'Garden Custom Painting(庭園雅集圖)', 'Gosa Figure Painting(故事人物圖)' and 'Gyehoe Painting(契會圖)' is considered a device to increase the unworldly atmosphere of gardens and to dignify the elegant meetings of scholars, reflected by the high appearance frequencies of cranes and deer. And it seems that the meaning of Musa basjoo in certain paintings like 'Life-time Paintings(平生圖)', 'Castle City Painting(盛市圖), and 'Cultivating and Weaving Painting(耕織圖)' is an aspiration for wealth and prosperity, and the Musa basjoos planted in temples are considered to have symbolic meanings of aspiration for 'Salvation through Belief' as well as a unworldly meaning which reminds the transiency of human affairs. In addition, the expected effect of experiencing 'the sound of rain falling on the leaves of Musa basjoo' has been pursued,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Firmiana simlex with wide leaves similar to Musa basjoo can be frequently spotted near the houses. Meanwhile, Musa basjoos seem to have been planted mainly in front garden or side garden around detached house and Musa basjoos inside the houses seem to have been planted mainly in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entrance, in relation with the location of bedrooms where it is easier to hear the sounds from the right side of the environment. And the paintings where Musa basjoos appear with strange rocks and bizarre stones among other things have greater part of all the paintings, which is considered a kind of intentional landscaping and a product of mixed materials for elegant appreciation. And the major characters of the painting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scholars such as arts, and the activities of minor characters were greatly related to their everyday lives. Musa basjoo of Chosun Dynasty in $17^{th}$ and $18^{th}$ century was one of the symbols necessary for description of gardens. And it provided the images of rainy scenes together with scholar culture which had a meaning of self-discipline, and it is assumed that the planting of Musa basjoo with the spirit of cease lessen deavor of a new leaf pushing up the tree and the spirit of resuscitation had the same trace of wheels in the city space of our country as the decline of scholar culture of Chosun Dynasty.

파초의 상징적 의미와 이미지 그리고 식재 의미를 개관하는 한편 총 77엽의 조선시대 옛 그림 속 파초의 식재경향과 식재위치 그리고 파초가 등장하는 도엽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파초 식재의 양상과 그 의미를 추찰(推察)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미인 등의 꽃말뿐만 아니라 부귀와 기사회생(起死回生)을 상징하는 대용물이었으며, 도교적 의미로는 선인(仙人)의 풍취를 자아내는 대상이었다. 또한 불교적 언어로는 덧없는 인간사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탈속(脫俗)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정원풍속도 및 고사인물도 또는 계회도에 빈번히 등장하는 파초는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품격화하기 위한 소도구이며 장치로 보이는 바, 학과 사슴의 등장빈도가 높음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한다. 또한 평생도(平生圖), 성시도(城市圖), 경직도(耕織圖) 등 특정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보이며, 사찰에 심겨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함께 '믿음의 구법'을 염원하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파초 식재를 통한 기대 효과로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을 울리는 소리경관'의 체험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넓은 잎을 지닌 (벽)오동나무 또한 가옥 근처에 파초와 같이 빈번히 발견됨에서도 확인된다. 한편, 파초의 식재장소는 주로 사랑채를 중심으로 한 전정이나 측정에 주로 단식이나 모아 심기한 것으로 보이며, 건물 내 파초 식재 위치는 우(雨)경관의 청음(聽音)이 용이한 침실 근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파초와 같이 등장하는 괴석 또는 암석의 표현은 일종의 의경(意景) 구축의 수단이며, 아취 있는 완상(玩賞)을 위한 소재 조합의 산물로 보인다. 또한 옛 그림 속 등장인물은 주연의 경우, 풍류 등 선비활동과 관련이 높았으며, 조연의 주요 행위는 생활활동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선조 17 18세기 파초는 아취 있는 정원의 구성과 묘사를 위한 긴요한 상징물이었다. 파초 식재문화는 선비들의 수양론적 의미대상이기도 하였다. 우경적(雨景的) 이미지 제공 및 자강불식(自彊不息)과 기사회생의 정신을 담았던 조선조 선비문화의 퇴조와 함께 파초는 우리나라 도시공간에서도 그 궤적을 같이 하여 퇴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갑(1984). 寺苑의 造景樹 植栽傾向에 對하여: 全南地方의 五大寺刹을 中心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신술(1990). 조선시대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자. 파주: 돌베개.
  4. 국립문화재연구소(2007). 독일 쾰른 동아시아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주)삼우아트.
  5. 김남철, 홍광표(1993). 삼보사찰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1: 39-42.
  6. 김남철, 홍광표(1995). 불국사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제3권.
  7. 김대중(2006).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한국실학연구. 11: 7-46.
  8. 김미영(1999). 괴석도에 나타난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울림(2005). 경기도의 옛 지도와 기록화. 옛 그림속의 경기도. 수원. 경기문화재단. pp.159-221.
  10. 김정희(2009).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 파주: 돌베개.
  11. 김종대(2001).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다른세상.
  12. 김지호(2006).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東山房(1982). 續.朝鮮時代 逸名繪畫. 서울: 東山房.
  14. 리영순(2006). 동물과수로 본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p294.
  15. 문화재관리국역(1989). 중국 고대정원림의 분석. 팽일강. (주)계문사. p180.
  16.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2005).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서울: 민속원.
  17. 부르그린드 융만(2004). LA카운티 미술관 소장 <戊辰進饌圖屛>에 관한 연구; 기록자료와 장식성 표현. 미술사논단. 19: 187-223.
  18. 서유구. 雨草堂記. 楓石鼓篋集.柳璞, 花菴記. 花菴隨錄 花木品題. p41.
  19. 송희경(2008). 조선 후기 아회도. 서울: 다할미디어
  20. 심우경(2006).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선호한 조경식물과 조경문화. 한국실학연구. 12: 92-93.
  21. 안대회(2004). 18∼19세기의 주거문화와 상상의 정원. 진단학보 97호.
  22. 안휘준(1988). 한국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한국회화의 전통. 서울: 문예출판사.
  23. 오세영(2006). 현대시와 불교 본문 中 선시란 무엇인가. 파주: 살림.
  24. 熊谷宣夫(1932). 芭蕉夜雨圖考. 美術硏究. 8: 9-20.
  25.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26. 유홍준, 이태호(2000).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 조선시대 계회도와 전별시. 서울: 도서출판 학고재.
  27. 이상희(1998).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본문 中 (3) 꽃말의 내용. 서울: 넥서스
  28.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중심.
  29. 이성규, 심상렬(1997). 우리나라 주요사찰의 조경수종 및 식재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지역개발연구 제5권.
  30. 이수미(200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평성시도>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수옥(1990a). 조선시대 파초도. 고미술. 25: 20-28.
  32. 이수옥(1990b). 조선시대 파초도. 고미술. 26: 21-30.
  33. 이양재(1996). 李商佐의 畵員家系四代考整. 한국고미술. 8․9월호: 106.
  34. 이정아(2009). 김홍도․이인문의 차그림을 통해 본 조선후기 차문화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종묵(1998).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보. 제98호.
  36.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서울: 휴머니스트.
  37. 장연역(2007). 중국문명대시야 2 위안싱페이. 서울: 김영사.
  38. 장진희(2009). 꽃그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張混, 平生志 而已广集, 권14. 문집총간: 270-578.
  40. 전영옥(2004). 조선시대 怪石의 특성과 산수화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41. 정민(2003). 18세기 지식인의 玩物 취미와 지적 경향. 고전문학연구. 23집.
  42. 정민(2005). 18․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취미. 한국한문학연구. 35: 35-77
  43. 정민(2007).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서울. 휴머니스트.
  44. 정병모(2000). 한국의 풍속화. 파주: 한길아트.
  45. 정봉구(2009). 朝鮮 後期 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 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林圖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약용(1936). 竹欄花木記. 與猶堂全書. 1집 14. 문집총간: 281-290
  47. 최완수(2009). 겸재 정선 3. 서울: 현암사.
  48. 최종세(2006). 붓 한 자루에 담긴 풍정. 서울: 도서출판 바움.
  49. 하재호, 홍광표, 김남철(1997). 선암사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5: 53-54.
  50. 허상현(2004). 전통사찰의 조경수 식재 실태연구: 불국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사찰조경연구. 10: 39.
  51. 洪萬選, 山林經濟 卜居編
  52. http://blog.daum.net/rwk0215/13156825
  53. http://blog.naver.com/jhon119/70869867
  54. http://blog.naver.com/nkkki/100053065936
  55. http://cafe.daum.net/jbj3909/JIcN/161?docid=
  56. http://cafe.daum.net/kilsangsunwoun/CW9l/2?docid=1JNhu|CW9l/2/ 20091218121306&qhttp
  57. http://ko.wikipedia.org
  58.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0846500
  59.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526400
  60. http://soohyun.compuz.com/zboard/view.php?id=taijiboard1&no=5983
  61. http://www.npm.gov.tw/ko/collection/selections_02.htm?docno=621& catno=15&pageno=4
  62. http://blog.naver.com/97pttp?Redirect=Log&logNo=150085281715
  63. http://blog.naver.com/nocleaf?Redirect=Log&logNo=90018225429
  64. http://blog.naver.com/biosigma?Redirect=Log&logNo=20052028447
  65. http://100.naver.com/100.nhn?type=image&media_id=1407398&docid= 741047
  66. http://www.sunamsa.or.kr/
  67. http://100.naver.com/100.nhn?docid=737705
  68. http://blog.naver.com/bucidol2?Redirect=Log&logNo=94375717
  69. http://blog.naver.com/freebowl?Redirect=Log&logNo=40030578826
  70. http://slowalker.net/130037881023
  71. http://blog.naver.com/noeleve798?Redirect=Log&logNo=90049403884
  72. http://cafe.naver.com/jhhistory/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