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aningful Interpretation on Concept of Byeulseo Scenic Spot

별서명승의 개념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eong University)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09.12.14
  • Accepted : 2010.03.20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is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yeulseo Scenic Spot that the definitions of Byeulseo and Scenic Spot would be presented first followed by clarifying the basis, reason and justification that Byeulseo would be called as Byeulseo Scenic Spot that the following is the major results formulated herein. First, the concept of scenic spot under the Cultural Property Act is the reference to the famous site with the building improvement well known for its great scenery or the point where splendid scenery is viewed that has the artistic value along with the trace of human lives in this cultural heritage that, although the scenery is important but the attention has to be on discovery of historic resources with the story telling in the subject site. Second, the criteria of designation on the Scenic Spot in Korea would be natural scenery, animal and plant site with well-known scenery, view point of scenery, famous building or garden and important places with legend that there lacks diversification. In this aspect, the intent of the concept of Scenic Spot would be facilitated to expand the designation of the Byeulseo Scenic Spot as the Scenic Spot of living style. Third, from the foreign cases, particularly, in Japan, it is needed to note that Byeulseos and housing gardens are designated for 196 places of Scenic Spot, reaching 55.4% of entire Scenic Spots. Laws, regulations, systems and designated criteria on the cases of designating the foreign Scenic Spots would be studied and quoted. Fourth, the classification work for each type to designate as cultural heritage has to be continued as the Scenic Spot of subject site with even more emerged for the value as the Scenic Spot in garden, original site and the like classified as historic site, important folk data and the like. Fifth, the designation of Scenic Spot of Byeulseo garden with splendid scenery as the living Scenic Spot has to be expanded. The pavilion existed now nationwide would be approximately 1,500, and these pavilions are the place where the scholars stay in the famous site, and this is the central space of Byeulseo to study, and if there is clear one that has written and record of deed to create the stories to people with the value for publicity campaign, it would be the subject of Scenic Spot. And sixth, for the case of view point with splendid scenery in Byeulseo Garden, it cannot be the subject of designation that the designation of Scenic Spot has to be expanded. In the event of the Byeulseo garden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of having outstanding view points, and there is a few case of designating the subject site with great view point as a Scenic Spot.

본 연구는 별서명승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서, 별서 및 명승의 정의를 먼저 제시한 후, 별서가 별서명승으로 불릴 수 있는 근거와 이유, 당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명승지정 기준은 3항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5항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 교육, 생활, 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를 명승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덧붙여 우리 선조들이 별서공간에 대한 명승개념을 정의해 놓은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별서공간을 역사 및 생활명승으로서의 명승으로 지정해 나갈 수 있는 준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첫째, 문화재법상 명승의 개념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건물이 있는 경승지 또는 이름난 풍경을 볼 수 있는 지점으로서 경치도 중요하지만, 대상지의 담겨진 삶의 기록(Story Telling)인 역사자원을 발굴해 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명승에 대한 지정 기준은 자연경관, 저명한 경치가 있는 동식물군락지, 경관조망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 다양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생활명승으로서의 별서명승의 지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외국 사례 중 일본의 경우, 별서 및 주택정원을 명승으로 196개소나 지정하여 전체 명승 355개의 55.4%에 달하고 있음에 유의하여, 우리도 이들의 제도를 우리에 맞게 원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저명한 건물이나 중요사적 및 민속자료 등이 포함된 대단위 경관지역은 복합문화명승이나 특별명승과 같은 개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적, 중요 민속자료 등으로 분류된 정원, 원지 중에서 명승으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는 대상지의 명승으로의 문화재 지정종별 분류작업을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생활명승이면서 경치가 아름다운 별서정원의 명승지정을 확대하여야 한다. 정자들은 경승지에 선비들이 은일하며, 학문을 했던 별서의 중심공간으로서, 작정자가 분명하고 행장기록이 있어 국민들에게 이야기거리를 창출하여 홍보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경우 명승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별서정원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조망점의 경우 지정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명승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별서정원의 경우 조망점이 우수한 사례가 많고, 아직 조망점이 좋은 대상지를 명승으로 지정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2009). 국제학술심포지엄 (명승의 현황과 전망)학술대회집, 명승의 개념 및 분류체계논의(이재근). pp386-400.
  2. 김지혜(2006). 우리나라 명승지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중.일.북한과의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국가문화재의 지정 기준 제2조(별표1)(개정2007.11.22). 법제처
  4. 문화재청(2009). 2009전국별서정원 명승자원지정조사보고서. pp.168-214.
  5.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도서출판 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