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Symbolism of Tongdo-palkyung and It's Narrative Structure

통도팔경(通度八景)의 경관상징성(景觀象徵性)과 서사구조(敍事構造)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2.10
  • Accepted : 2010.03.16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illuminate the features and values of the Buddhist temple Palkyung by closely examining the forms, structures, and meanings of Tongdo-palkyung(通度八景) handed down at Tongdosa Temple, the best among Korea's Buddhist temples with its three treasures of Buddha, law of Buddha and Buddhist mon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it reveals the meaning of the geographical name Yeongchuksan(靈鷲山), located to the west of Tongdosa, and a spectacular sight spread like an eagle's spread wings, as well as its location and spatial features.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features of a number of attached hermitages clearly show Yeongchuksan's world as being a temple with buddhist treasures. The multi-layered unfolding and centripetal intention of the scenery can be perceived through the shape of the Sshangryongnongju(雙龍弄珠形), around Tongdosa and the feature of the enclosed landscape encircling the steps of Hyeolcheo(穴處) Geumganggyedan. The substances and components of Tongdopalkyung include sound-based spectacles derived from Beoneumgu(梵音具) creating sounds related to religious rituals to enlighten and redeem mankind, such as Yeongji(影池: a holy pond with shadow reflections), drum sounds, and bell sounds along with physical features like pine trees, Dae(臺), waterfalls, Dongcheon (洞天), and a glow in the sky. On the other hand, Palkyung's geographical arrangements exhibit a circular spatial formation based on the main motif as Buddhist symbolism, beginning with the 'Gukjangsangseokpyo(國長生石標)' awakening the territoriality of Tongdosa and locating the first scene 'Mupunghansong(舞風寒松)' in its introductory area, with the features of water, bridge, pine grove, and Iljumun(gate) to stand for the influx. Six other scenes including 'Anyangdongdae(安養東臺)' are placed in the sacred precincts around Daeungjeon and Geumganggyedan while the glow of sunset at 'Danjoseong' just outside the domain closes the symbolic circular formation of the Tongdopalkyung, which coincid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ndala figure symbolizing 'Gusanpalhae(九山八海)' centered in Sumisan(須彌山). What is more, Tongdopalkyung, while excluding primary scenic elements inside the temple, maximizes the domain of the mountain's entrance and the effects of the multi-layered mountain, mountain upon mountain, by intensifying the influx and centripetal qualities. The Tongdopalkyung analysis reveals the antithesis of four-coupled scenes conveying buddhist principles and thoughts on the basis of seasons, directions, space and time to display a narrative structural landscape when viewed from the temple's territoriality. Likewise, the characteristics and porch structures of Tongdopalkyung are tools and language of symbols to both externally strengthen the temple's territoriality and to internally, maximize the desires to the Land of Happiness as well as intensify religious wishes and the Mandala's multi-layered qualities through the meanings of time and space.

국내 삼보사찰의 하나인 통도사에 전래되는 통도팔경의 형식과 구조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봄으로서 '통도팔경'의 상징성과 팔경의 포치적 서사구조를 조명하기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도사 서쪽의 영축산이 갖는 지명의 의미와 독수리 날개깃과 같이 배경에 펼쳐진 영축산의 웅혼한 장관(壯觀) 그리고 다수의 부속암자의 원심적 배치 특성과 위용에서 통도사의 불보세계관이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도사를 중심으로 한 쌍룡농주형의 형국과 혈처(穴處)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형성된 위요경관적 특성에서는 통도사의 중층적 경관전개와 구심적 경관의도가 감지된다. 통도팔경의 경관내용과 구성요소는 소나무, 대(臺), 폭포, 동천(洞天) 그리고 노을 등 물리적 경관 이외에 영지(影池)와 북소리, 종소리 등 불교의식과 관련한 범음구(梵音具)에서 파생되는 청각적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중생을 교화 제도하기 위한 소리경관이 강조되고 있다. 팔경의 포치를 살펴볼 때, 통도사 영역을 일깨워주는 국장생석표를 시작으로 물과 다리 그리고 송림숲과 일주문으로 연결되는 유입부에 제1경 '무풍한송'을 배열하고,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둘러 펼쳐진 경역의 요처에 안양동대 등에 6개경을 배치하는 한편, 영역 밖 '단조성에서 조망한 낙조'를 북단에 설정함으로써 불교적 상징성을 주요 모티브로 하는 원심적 공간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구산팔해를 상징화한 만다라 형상의 전개와 일치한다. 더욱이 통도팔경은 사찰 경내의 요처인 주경관 요소를 배제하고 유입성과 원심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산문의 영역성과 중첩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팔경의 경관해석 결과로 볼 때 통도팔경은 2개경씩 4쌍의 경이 대구(對句)를 이루면서 계절성, 방향성, 공간성 그리고 시간성을 축으로 불교적 교리와 관념을 담으며 사찰 영역에서 바라본 서사적 풍경임이 발견된다. 이와 같은 표제의 성격과 포치구도는 물론 의미내용을 볼 때 통도팔경은 외적으로는 통도사의 사찰 영역성을 보다 강화시킬 위한 장치이자 가시적 표상이며, 내적으로는 시공간적 의미 속에 극락세계로의 지향 염원을 극대화하고 종교적 염원과 만다라의 중층적 성격을 강화하기 이루어진 경관 상징언어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욱(1993). 삼보사찰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철환(2003). 시공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3. 기태후(2004). 통도사의 풍수지리학적 입지특성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갑기(2007). 조선후기 사찰제영시攷. 한국어문학연구. 48: 55-85.
  5. 김개천(2004). 명묵의 건축. 서울: 안그라픽스.
  6. 김광현(1985). 통도사의 중층적 전개에 관한 형태분석. 건축. 29(1): 10-14.
  7. 김병우, 김복만(1982). 고대 신라인의 조경의식에 관한 연구; 특히 가람 통도寺 조경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제14집: 491-504.
  8.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3;이땅에 새겨진 정신. 파주: 돌베개.
  9. 김영택(2007). 김영택의 펜화기행. 서울: 지식의숲.
  10. 김윤곤(1982). 역대의 사원전과 그 경작농민; 운문사와 통도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논총. 12.13합본집: 145-186.
  11. 김재영(2004). 통도사 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7세기-14세기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형우, 신대현, 안병인(2004). 한국의 사찰 下. 서울: 대한불교진흥원출판부.
  13. 김휘영(1984). 상징으로 본 한국 불교사찰의 경관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경(2000). 상상계와 문화원형 연구; 수 원형과 만다라. 기호학연구. 8(1): 87-124.
  15. 노재현(2009). 소상팔경,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101-119.
  16. 박연호(2004). 16세기 이전 원림문학의 공간특성연구. 개신어문연구. 21집: 81-108
  17. 배정관(2005). 사찰 내 암자의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조계종 사찰을 중심으로. 배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배진달(2009). 연화장세계의 도상학. 서울: 일지사.
  19. 법보신문(2008). 시민과 함께하는 개산문화축제. 2008년 9월 22일.
  20. 부산일보(2009). 영성과 깨침의 보금자리 종교 건축을 보다. (5) 통도사 금강계단과 대웅전 진신사리 모신 '불교 문화 정수'. 5월2일자. 13면.
  21. 서치상(2000). 통도사 자장암에서 보는 우리건축의 拙撲美. 석림. 34: 159-187.
  22. 석도열(2000). 만다라이야기. 서울: 맑은소리.
  23. 심봉근(2002). 통도사 주변의 신라유적. 양산의 역사와 문화. 통도사성보박물관: 232-243.
  24. 안동선(2002). 통도사 사찰관광자원의 매력성과 만족에 관한 연구. 영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안영배(1981). 통도사 가람배치에 관한 연구. 건축. 25(1): 3-7.
  26. 안제인(2008). 제영시에 나타난 사찰의 형상화; 삼보사찰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어문학회지. 12: 183-210
  27. 양상현(1999). 조선시대 사찰배치의 서사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오영미(2009). 영취산 통도사의 풍수지리적 고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오흥선(1999). 의식을 통해 본 통도사 공간구성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울산대학교 건축대학(1980). 통도사 가람배치실측조사. 울산대 연구논문집. 울산: 예문사.
  31. 윤성호(1987). 한국 사찰건축외부공간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통도사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강훈(1993). 통도사에 있어서 건축공간의 중심성. 충북대학교 건설기술논문집. 12(2): 45-58.
  33. 이권영, 서치상(2002). 통도사 자장암의 건축에 내재된 조영의도와 미의식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1(4): 117-128.
  34. 이규성(1985). 정연한 건축체계로서 통도사 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 61-67.
  35. 이기영, 이용민, 정병조, 장충식(1999). 통도사, 한국의 사찰 4.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일지사.
  36. 이동영, 김을용(1990). 양산 통도사 가람건축에 관한 연구(II). 대전공업대학논문집. 7(2): 251-277.
  37. 이명진(1998). 사찰관광지 해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통도사를 중심으로. 관광,레져연구. 10(2): 105-121.
  38. 이승훈(1994). 종교적 경관에서의 상징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통도사와 성피에트로성당의 비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은주(2000). 삼보사찰의 가람배치에 대한 고찰. 선문사학. 1: 19-54.
  40. 이혁(2000). 산문을 중심으로 한 전통사찰 진입공간의 특성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영훈(2007). 산 나고 탑 나고 절 나고. 서울: 도서출판 담디.
  42. 전경원(2002). 소상팔경 한시의 함의와 정서적 기여; 어촌낙조를 대상으로. 겨레어문학. 29: 15-43.
  43. 정각(2007). 말사탐방 월간 등불. 2007년 1.2.3.4.5.6.7월호.
  44. 조남두(2003). 사찰건축에서의 수공간의 의도성에 관한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구논집. 33: 263-282.
  45. 조태상(2009). 法宗 虛靜의 <소상팔경차운> 연구; 내용과 구성에 나타난 불교적 감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69: 199-218.
  46. 주용규(1995). 한국 전통가람 통도사의 조영원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최기수(1990). 曲과 景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통도사성보박물관(2001). 다시 보는 통도사; 통도사의 역사와 문화재.
  49. 통도사성보박물관(2002). 양산의 역사와 문화. 서울: 시티파트너.
  50.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51. 한동수, 이해성(1986). 통도사영역의 형식과정과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 15-28.
  52. 홍광표(2008). 한국전통사찰의 경관상징성.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파주: 도서출판 조경.
  53. 홍윤식(1997). 통도사의 가람구조와 그 성격. 불교미술. 14: 51-76.
  54. 홍재동(2001). 통도사 상로전 영역의 공간구성 변화 고찰. 건축역사연구. 10(3): 45-60.
  55.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7986251
  56. http://blog.daum.net/dlwkd65/5265159
  57. http://cafe.naver.com/mahamud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 %3Farticleid=522
  58. http://land.culturecontent.com/
  59. http://tongdomuseum.or.kr/08_open/open02.asp
  60. http://www.dosunsa.or.kr/zeroboard/view.php?id=sachal&no=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