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ve-and Below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for Pinus densiflora Stands of Cheongyang and Boryeong Regions in Chungnam

충남 청양, 보령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와 지하부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에 관한 연구

  • Seo, Yeon-O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yo, Jung-Kee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Rae-Hyun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on, Yeong-Mo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Kyeong-Hak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서연옥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영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표정기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 김래현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 이경학 (국립산림과학원 탄소경영연구과)
  • Received : 2010.09.15
  • Accepted : 2010.09.3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bove-and belowground biomass, net primary production,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Pinus densiflora stands of Cheongyang and Boryeong regions in Chungnam. The total dry weights in Cheongyang and Boryeong regions were 122.36 kg/tree and 137.68 kg/tree while the aboveground biomass for these two regions were 72.23 Mg/ha and 143.27 Mg/ha, respectively. Total(above-and belowground) biomass were 91.77 Mg/ha and 178.98 Mg/ha, respectively. Net primary production of above-and belowground biomass in Cheongyang and Boryeong regions were 8.69 Mg/ha, 10.03 Mg/ha, 16.00 Mg/ha and 18.66 Mg/ha, respectively. Stem density (g/$cm^3$) was 0.457 and 0.421 while the above and total biomass expansion factors were 1.394~1.662 and 1.324~1.63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tand density and site quality could be influenced on the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the two reg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very useful to calculate carbon sequestrations by applying stem density value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Pinus densiflora in these two regions.

본 연구는 충남지역에서 소나무림 분포가 가장 넓은 청양군과 보령시 국유림 내의 소나무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와 지하부 바이오매스, 순생산량, 줄기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청양지역과 보령지역 소나무림의 임목 전체 건중량과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중량은 각각 122.36 kg, 137.68 kg으로 나타났고, 72.23 Mg/ha, 143.27 Mg/ha으로 나타났으며,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전체 건중량은 91.77 Mg/ha, 178.98 Mg/ha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양지역의 지상부 순생산량은 8.69 Mg/ha로 임목전체에서는 10.03 Mg/ha으로 나타난 반면에, 보령지역은 16.00 Mg/ha와 18.66 Mg/ha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의 바이오매스와 순생산량의 차이는 임분밀도와 지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줄기밀도(g/$cm^3$)는 각각 0.457, 0.421로 나타났고,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지상부와 지하부를 포함하여 각각 1.394~1.662, 1.324~1.639의 범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값들은 충남지역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탄소흡수량을 추정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5. 지구온난화와 산림 그리고 탄소 나무 계산기 pp. 96.
  2. 국립산림과학원. 2006a. 기후변화협약과 산림. -국제적 논의 동향 및 대응방향 216p.
  3. 국립산림과학원. 2006b. 산림 바이오매스 조사 표준 매뉴얼 pp. 51.
  4. 국립산림과학원. 2007. 산림 바이오매스 및 토양탄소 조사분석 표준 pp. 74.
  5. 기상청. 2008.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6. 김영환, 맹헌우, 이돈구. 1999. 백두산 동북부지역 소나 무 천연림에서 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생산성 및 수직 배분. 임산에너지 18(2): 92-99.
  7. 박인협, 김준선. 1989. 한국산 4대 지역형 소나무천연림 의 물질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0-330.
  8. 박인협, 문광선. 1999.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의 종간경쟁 및 물질생산. 한국임학회지 88(4): 462-468.
  9. 박인협, 박민수, 이경학, 손영모, 서정호, 손요환, 이영진. 2005. 소나무의 생태형과 임령에 따른 물질 현존량 확장계수. 한국임학회지 441-445.
  10. 박인협, 이석면. 1990. 한국산 4대 지역형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11. 이명종. 1998. 강원도 지방 잣나무 인공림의 임령변화에 따른 지상부 현존량과 양분면적. 한국임학회지 87(2): 276-285.
  12. 이수욱. 1985. 강원도산 소나무천연림생태계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1: 74-81.
  13. 산림청. 2008. 산림청 홈페이지. http://www.forest.go.kr/
  14.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Kanagawa, Japan. pp. 576.
  15. SAS. Institute Inc., 2004. SAS/STAT 9.1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16. Sprugel, D.G. 1983. Correction for bias in log-transformed allometric equation. Ecology 64(1): 200-210.
  17. Whittaker, R.H. 1965. Branch dimensions and estimation of branch production. Ecology 45(3): 365-370.
  18. Whittaker, R.H. and P.L. Marks 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Pages 55-118. in H. Lieth, and R.H. Whittaker, ed.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Springer-Verlag,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