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양삼 재배지의 기상특성 및 생육에 관한 연구

Weather Characteristic and Growth of a Forest Ginseng Cultivation Site

  • 이동섭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Lee, Dong-Sup (Department of Ecosystem & Environ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16
  • 심사 : 2010.10.22
  • 발행 : 2010.12.30

초록

산지에서 재배되는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재배지 내에 $20{\times}20$ m 방형구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역의 입지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입지특성에 관해서는 상층을 위주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임관울폐도는 균일하게 80%로 조절하고, 조사지내의 시험구는 미세기후를 측정하기 위한 Hobo를 설치하여 재배지의 기온, 토양내 온도변화 등을 측정하고 지역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구의 입지특성은 모든 조사구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험구내의 토양 특성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산림토양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4월경 지상부가 출현하는 시기에는 $15^{\circ}C$이상의 적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온도가 상승하여 $8^{\circ}C$에 도달하면, 산양삼의 정단부에서 출엽을 시작하며, 지중온도가 $18^{\circ}C$를 넘어서면 낙엽이 지기 시작한다. 묘삼 식재의 경우 초기 출아율이 높으나 3년이후 급격히 출아율이 감소하여 자연도태가 이루어지고, 종자 파종의 경우에는 초기 출아율이 묘삼식재보다는 낮으나 자연도태율이 묘삼식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geographical condition and soil characteristic of ginseng cultivation site. At all sites, crown density adjusted by 80%. and Air and soil temperature were also measured. The geographical condition vary ato all sites. and soil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ypical forest soil of Korea. The results shows the Air temperature needs to be higher than $15^{\circ}C$ for seed budding at April When soil temperature reach at 8, leaf of foest ginseng starts to bud. A forest ginseng is influenced by forest type, planting type and budding rates. In the case of a seedling planting, an seeding emergence rate is high, but the rate is decreased rapidly after three years On the other hand, direct seeding shows lower seedling emergence rate, but survival rate is higher than seedling-plan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만. 1988. 인삼재배기술. 부민사. pp.254.
  2. 농림부. 1998. 인삼인간 청정재배 경영모델개발. pp1-166.
  3. 목성균. 손석룡. 박훈. 1996 토양수분함양별 인삼의 지근 및 지하부 생육. 한국작물학회지 26(1): 115-120.
  4. 박훈, 유기중, 최병주. 1982 인삼근신아의 암하 생육에 비치는 온도의 영양. 한국고려인삼학회지 12(1): 1-10.
  5. 박훈a. 1979. 인삼의 온도에 대한 생리반응 I 옛경험 분 포, 발아, 광합성, 호흡. 한국고려인삼학회지 4(1): 156-167.
  6. 박훈b. 1979. 인삼의 온도에 대한 생리반응. II 한국고려인삼학회지 4(1): 104-120.
  7. 송석환, 민일식, 송재찬. 2008. 3토양에서 채취된 고려 인삼의 희토류 원소 함량. 한국고려인삼학회지 32(4): 355-381.
  8. 송석환, 민일식, 장규식. 2008. 금산의 다양한 토양으로 부터 채취된 고려인삼의 주 원소 한량비교. 한국고려인삼학회지 32(3): 192-209.
  9. 우수영, 이동섭 2005 임상별 임간인삼의 생육과 체적환 경에 관한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2): 65-71.
  10. 이명보, 이봉수, 오민영, 홍한표, 홍성호. 1980. 산림에서의 임삼재배 적성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연구보고 28: 227-239.
  11. 이미경, 민지숙, 박훈. 1986. 무기양묘변화에서 인삼근 Ginsenoside의 상관관계. 한국고려인삼학회지 10: 1.
  12. 이성우, 차선우, 현동윤, 김영창, 강승원, 성낙술. 2005. 직파와 이식재배에 따른 인삼의 생육특성 및 엑스와 조 사포닌 함량. 한국양용식물학회지 13(6): 241-244.
  13. 이종철, 이종률, 박훈. 1985. 인삼식물체의 호흡량. 한국작물학회지 30(20): 154-157.
  14. 임주락, 김종엽, 박춘봉, 추병길, 김대향, 최영근, 황창연. 2003. 임간재배 인삼의 직파 및 이식 재배에 따른 생육. 한국약용식물학회지 11(3): 216-223.
  15. 현동윤, 연병열, 이성우, 강승원, 현근수, 김영철, 이광원, 김성민. 2009. 인삼 재배지의 토양 화학성에 따른 생리 장해 유형 분석. 한국약용식물학회지 17(6): 439-444.
  16. 현동준, 현근수, 연병열, 강승원, 김영철, 이광원, 김성민. 2009. 인삼 수량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재배 적지 기준 설정. 한국약용식물학회지 17(6): 42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