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 Kang, Mi-Hee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Kim, Seong-I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미희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성일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10.05.06
  • Accepted : 2010.10.13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The indices were chosen to enable forest managers to establish effectiv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three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email survey with experts. The 13 landscape evaluation indices were final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y were ecological health (degree of green naturality, degree of ecological naturality, disease and insect damage, crown vitality), aesthetic visual quality (naturalness, harmony, diversity, traditionality, aesthetic appreciation, rarity), and sensitivity (level of tourism/recreational use), interruptions (damaged land, artificial structures). The five-level was suggested for the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system.

본 연구는 산림경관의 현재수준을 평가하여 일련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상황에 부합하는 관리전략을 수립, 실행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및 이메일설문조사 등의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산림경관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의견수렴 결과 도출한 최종 산림경관등급화 평가지표는 '생태적 건강성'(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 병 해충 피해수준, 수관활력도), '경관성'(자연성, 조화성, 다양성, 전통성, 심미성, 희귀성), '민감도'(관광휴양이용수준), '방해요소'(훼손지, 인공구조물) 등의 4개 범주, 총 13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또한 산림경관 평가 등급의 수는 5개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희. 1999.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와 태도: 척도구 축과 여행자유형별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미희, 김남조, 최승담. 2002. 대중관광객과의 비교를 통한 생태관광객의 차별적 특성 규명 : 여행 동기 및 태 도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17(2): 157-176.
  3. 국립산림과학원. 2004. 산림휴양.경관자원의 관리방안 연구
  4. 김승주, 임승빈. 2009. 도시경관 진단을 위한 평가모델 및 지표개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1): 78-86.
  5. 농림부, 한국농촌공사농어촌연구원. 2007. 농촌경관지표, 농촌경관맵 및 경관보전협약의 현장 적용성 연구.
  6. 방재성, 양병이. 2009.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과 이용빈도. 한국조경학회지 37(2): 78-89.
  7. 산림청. 2004. 생활환경보전림(경관림)조성관리체계(1년차)
  8. 산림청. 2008. 산림경관벨트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9. 산림청. 2009.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
  10. 서주환, 윤재남. 1999.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경관자 원 평가와 관리. 한국조경학회지 27(3): 88-97.
  11. 손재영, 홍성도. 2006. 꽃 축제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태백산 철쭉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지 30(6): 281-300.
  12. 이희승. 1963.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서울.
  13. 임승빈. 2009. 경관분석론. 개정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4. 임승빈, 안동만. 1996. 제주도 중산간지역 현황조사.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15. 한갑수. 2003.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 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7-128.
  16. 황기원. 1989. 경관의 다의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55-68.
  17. 황재훈. 2003. 청주시 경관유형별 특성 및 평가연구.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22(2): 281-294.
  18. Arthur, L.M., Daniel, T.C., and Boster, R.S. 1977. Scenic assessment: An overview. Landscape Planning 4: 109-129. https://doi.org/10.1016/0304-3924(77)90014-4
  19. Crompton, J.L. 1979. Motivations for pleasure vac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6: 408-424. https://doi.org/10.1016/0160-7383(79)90004-5
  20. Daniel, T. C. and Vining, J. 1983.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landscape quality. pp.39-83. In : I. Altman and J. Wohwill, eds. Behaviou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lenum Press.
  21. Dann, G.M.S. 1981. Tourist motivation: An appraisal. Annals of Tourism Research 8: 187-219. https://doi.org/10.1016/0160-7383(81)90082-7
  22. Maslow, A.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2nd edition. Harper and Row, New York.
  23. Ross, E.L.D and Iso-Ahola, S.E. 1991. Sightseeing touris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226-237.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06-W
  24. The Macaulay Land Use Research Institute. 2009. Review of Existing Methods of Landscape Assessment and Evaluation.
  25. Zube, E.H., Sell, J.L., and Taylor, J. 1982. Landscape perception: Resea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Planning 9: 1-33. https://doi.org/10.1016/0304-3924(82)90009-0
  26. U.S. Bureau of Land Management. 2009. VRM Manual 8400, 8410, 8431. http://www.blm.gov/nstc/VRM/index.html (2009. 0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