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ntory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Carbon Cycle Community (The case study on Gyeongbuk Bonghwa-gun Chunyang-myeon Seobyeok-ri)

탄소순환마을의 이산화탄소배출량 조사연구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를 중심으로)

  • Kim, Hyo-Ji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y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Byun, Woo-Hyuk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y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im, Min-Woo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y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Park, Won-Kyoung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y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Min-Su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y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김효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변우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임민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박원경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김민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Received : 2010.05.20
  • Accepted : 2010.06.08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most basic matter to establish forest carbon circulation village is statistic on greenhouse gas emissions. But currently, although there is statistic 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level of city or province, there is not statistic on greenhouse gas emission in village uni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del area is located in Seobyeok-ri, Chunyang-myeon, Bonghwa-gun, Gyeongsangbuk-do, the total $CO_2$emissions caused by energy used in the model area was $1,755tCO_2$. Heating accounts for 55% of total emissions followed by 23% for power and 22% for vehicles. The model area emitted $572tCO_2$ due to rice growing and livestock raising,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24.5% of total $CO_2$ emissions. It is expected that a reduction of as much as $884tCO_2$ emissions will be made from the current $964tCO_2$ to a level of 1/12th that amount, or $80tCO_2$ by replacing heating energy currently used in the model area with wood bioenergy such as wood chips or pellets. In addition, carbon emission reduction is expected for both heating and power by replacing the power consumption in houses, buildings, and street lights with solar power.

산림탄소순환마을 조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통계인데 현재 시 도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 통계는 존재하나 마을단위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통계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마을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여 탄소순환마을의 탄소수지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결과, 시범대상지인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의 에너지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755tCO_2$이며 그 중 난방 사용에 의한 배출량이 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력 23%, 차량 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벼농사와 가축 등 농업으로 인해 총 $572tCO_2$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었다. 이는 에너지 사용과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2,327tCO_2$의 약 24.5%를 차지했다. 또한, 모델지역에서 사용되는 난방에너지를 우드칩이나 펠릿 등 목재 바이오에너지로 대체할 경우 년간 약 1,580 ton의 목재가 소비될 것이며 난방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배출량은 $964tCO_2$의 1/12인 $80tCO_2$$884tCO_2$ 만큼의 탄소가 저감 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 2007. 경기도 시.군 지자체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 연구 pp. 73-79.
  2. 국립산림과학원. 2006. 지구온난화와 산림 그리고 탄소나무 계산기 pp. 24-28.
  3. 국립산림과학원. 2006. 기후변화협약 대응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 체계 구축.
  4. 김장수. 1982. 산림과 환경 pp. 37-40.
  5. 녹색성장위원회. 2009. 녹색성장 국가전략. pp. 61-65.
  6. 봉화군. 2008. 봉화통계연보.
  7. 산업자원부. 2006. 에너지통계연보. pp. 12-17.
  8. 산림청. 2003. 숲가꾸기 산물의 경제적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pp. 5-7.
  9. 산림청. 2009. 산림탄소순환마을 조성계획. pp. 1-3.
  10. 산림청. 2002. 임업통계연보.
  11. 산림청. 2007. 임업통계연보.
  12. 산림청. 2009. 산림자원의 조성 및 활용 확대. pp. 51-66.
  13. 삼성경제연구소. 2001. 기후변화협약의 도전과 한국의 대응 pp. 1-7.
  14.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기후변화협약 대응 국가온실가스 IPCC 신규 가이드라인 적용을 위한 기획연구. pp. 50-80.
  15.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2006년도 에너지총조사 보고서. 산업자원부.
  16. 이진행. 2001.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교토의정서 체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현우. 2007. 목질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이용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장철원. 2008.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배출권거래제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지식경제부. 2009. 지자체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결과. pp. 1-11.
  20. 환경부. 2008. 지자체 기후변화대응 업무안내서.
  21. 환경부. 2002. 환경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및 통계구축.
  22. IPCC. 1996.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핵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Reference Mannual.
  23.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