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bove-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Naturally Regenerated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in Gangwon Province

천연갱신과 인공조림된 강원지역 금강소나무의 지상부 생장특성 비교

  • Na, Sung-Jo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Woo, Kwan-S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hang-S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on, Jun-Hyuck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Heon-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Lee, Do-Hy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나성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우관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김장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윤준혁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도형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10.02.23
  • Accepted : 2010.03.2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DRC), and the dry weights of stem, branches, needles and roots between naturally regenerated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in Dae-gi and Bo-gwang site, Gangwon province, Republic of Korea. Average DRC growth was similar between the naturally regenerated and the planted stands in Dae-gi area, however,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between the naturally regenerated and the planted stands in Bo-gwang area, 4.66 cm and 2.61 cm, respectively. Average height of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than that of planted stands in both Dae-gi and Bo-gwang areas.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dry weights for each part of measured trees was the highest in the stem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but in the planted stands, the needle was the highest in both sites. The root/shoot ratio in the Dae-gi and Bo-gwang areas in the planted stand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0.25-0.30 and 0.17-0.18, respectively. The ratio of needle to stem biomass (N/S), branch to stem biomass (B/S), and needle to branch biomass (N/B)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lanted stands than those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in both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the regeneration methods, natural and artificial regeneration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early growth of P densiflora for. erecta. This results not only provide the need for a correct planting method, but also will be useful in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rees.

본 연구는 천연갱신과 인공조림에 의해 성립된 I영급 금강소나무 임분의 유시생장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강원도 대기와 보광지역에서 천연갱신된 임분과 인공조림된 임분을 대상으로 임목의 각 부위별 (줄기, 가지, 침엽, 뿌리) 건중량과 구성비를 비교하고, 수고와 직경생장량을 비교함으로써 두 임분간의 생장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7년간 평균 직경생장량은 대기지역에서는 두 임분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보광지역에서는 천연갱신 임분(4.66 cm)이 인공조림 임분(2.61 cm)에 비하여 그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임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1). 또한 7년 평균 수고생장은 두 지역 천연갱신된 임분이 인공조림된 임분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장을 나타내었다(p<0.01). 각 부위별(줄기, 가지, 침엽, 뿌리) 지상부와 지하부의 구성비에서 대기와 보광지역 모두 천연갱신 임분에서는 줄기의 구성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인공조림 임분에서는 침엽의 구성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두 임분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뿌리 대 지상부의 건중량비는 대기와 보광지역 모두 인공조림 임분(0.25-0.30)이 천연갱신 임분(0.17-0.18)보다 그 값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줄기당 침엽의 비율(N/S), 줄기당 가지의 비율(B/S), 가지당 잎의 비율(N/B)은 두 지역 모두 인공조림된 임분이 천연갱신된 임분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천연갱신과 인공조림의 성립방법에 따라 초기 금강소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조림 시올바른 조림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수목의 환경적응성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2003.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 -조림지와 천연림에서 자작나무 세 수중의 직경생장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 224-231.
  2. 김갑태. 2004.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 -조림지와 천연림에서 가래나무의 직경생장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 309-315.
  3. 김동근, 서형민. 2005. 삼척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 직파조림묘와 식재조림묘의 Biomass 생산과 생장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 240-246.
  4. 김태훈, 정진현, 구교상, 김규헌, 차순형, 김준섭, 이충화, 구창덕. 1988. 산림토양분류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37: 19-34.
  5. 김태훈, 정진현, 이충화, 구교상, 이원규, 강인애, 김사일. 1991. 토양형별 주요 수종의 생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2: 91-106.
  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수원. pp. 202.
  7. 박인협, 김준선. 1990.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8. 박인협, 박인수, 이경학, 손영모, 서정호, 손요한, 이영진. 2005. 소나무의 생태형과 임령에 따른 물질 현존량 확장계수. 한국임학회지 94(6): 441-445.
  9. 산림청. 2000. 산림과 임업기술 II. 산림자원 조성. 한국. 대전 pp. 157-182.
  10. 산림청. 2006. 소나무.상수리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생육연구 비교분석 및 효율적 조림방안 연구. 대전. pp. 221.
  11. 이수욱. 1981. 한국의 산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 25-35.
  12. 이천용. 2000.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pp. 350.
  13. 정인구. 1981. 수량화에 의한 우리나라 삼림토양의 형태학적 및 이화학적 성질과 잣나무 및 낙엽송의 생장 상관분석. 한국임학회지 53: 1-26.
  14. 정영관, 홍병화, 김종만. 1980. 토양의 화학적성질과 임목생장과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46: 10-20.
  15.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6(6): 694-700.
  16. 河田弘. 1989. 삼림토양학개론. 박우사. pp. 399.
  17. Burden. A.X. and Martin. P.A.F. 1982. Chemical root pruning of coniferous seedling. HortScience 17: 622-624.
  18. Cairns, M.A., Brown, S., Helmer, E.H. and Baumgardner, G.A. 1997. Root biomass allocation in the world's upland forests. Oecologia 111: 1-11. https://doi.org/10.1007/s004420050201
  19. Caldwell, M.M. and Fernandez. O.A. 1975. Dynamics of great basin shrub root system. pp. 38-51 in N.F. Hadley (ed). Environmental physiology of desert organisms. Halstead press. New York.
  20. Canadell, J., Djema, A., Lpez, B., Lloret, F., Sabat, S., Siscart, D. and Gracia, C.A. 1999.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Root System. pp. 47-59 in F. Rod, J. Retana, C.A. Gracia and J. Bellot (eds). Ecology of mediterranean evergreen oak forests. Ecological studies 137. Springer.
  21. Johnson, F.L. and Risser. P.G. 1974. Biomass, annual net primary production and dynamics of six mineral elements in a post oak-blackjackoak forest. Ecology 55(6): 1246-1258. https://doi.org/10.2307/1935453
  22. Klock, G.O., Cline R.G. and Swanston. D.N. 1984. Forest handbook (Second Edition).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pp. 83-96.
  23. Koch, P. 1989. Estimates by species group and region in the USA of below-ground root weight as a percentage of overdry complete-tree weight and carbon content of tree portions. Wood science laboratory, Inc., Carvallis, MT. pp. 23.
  24. Laclau, P. 2003. Biomass and carbon sequestration of ponderosa pine plantation and native cypress forest in northwest Patagon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0: 317-333. https://doi.org/10.1016/S0378-1127(02)00580-7
  25. Lester R. 2006. Plan B 2.0. USA. pp. 495.
  26. Marler. T. E. and Wilis. D. 1996. Chemical or air root pruning containers improve carambola, longan and mango seedling root morphology and initial root growth after transplanting. Journ of Environment Horticultural 14(2): 47-49.
  27. Rodin, L.E. and Bazilevich. N.I. 1967. Production and Mineral Cycling in Terrestrial Vegetation. Oliver and Boyd, London. pp. 288.
  28. Rundel, P.W. 1980. Adaptations of mediterranean climate oaks to environmental stress. pp. 43-54 in Ecology,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alifornia oaks. USDA for. serv. gen tech. Rep. PSW-44.
  29. Whittaker, R.H. and Marks. P.L. 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ial productivity. pp. 55-118. in H. Lieth and Whittaker R.H. (ed.)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Springer-Verlag, New-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