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 차이의 구명

Analysis of Difference in Growing Stock Volume Estimates by the Changes of Cluster Plot Design and Volume Equation

  • 한원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종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an, Won-Sung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g-Ho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hong-Chan (Division of Forest Resource Inform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Man-Y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okmin University)
  • 투고 : 2010.02.23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2006년부터 시작된 국가산림자원조사부터 표본점 설계방법과 적용 단목재적식을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과거와는 다른 임목축적 추정치의 경향을 보이고 있어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개 집락의 80개 표본점을 대상으로 제4차 및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 설계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종별 단목재적식과 과거에 사용하였던 단목재적식을 적용하여 임목축적을 추정한 후 표본점 설계 방법 및 적용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 추정치의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임목축적 차이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표본점 설계방법의 변경에 따른 임목축적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용된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의해서 통계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임목축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통해 얻어지는 임목축적은 적용 단목재적식의 변경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국제기구에 보고하기 위해서는 재계산을 통해 2006년 이전의 임목축적 추정치의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Korea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has been adopting different cluster plot design and new equations to estimate growing stock volumes since 2006. These changes have resulted in volume estimations which show some difference from previous one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urce of such difference. For this, relevant data was collected from 80 plots of 20 cluster samples according to the cluster plot design applied to 4th and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Then growing stock volumes were estimated by using current and previous individual tree volume equations respectively.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detect whether such difference in volume estimates was originated from the changes in cluster plot design or from using different volume equations.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from changes in cluster plot design was negligible. Instead, changes in volume equ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volume estimation. Since the volume estimation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would bring overestimation by applying different volume equations, all the volume estimations made prior to 2006 would require necessary modifications for international repor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산림과학원. 1996. 전국산림자원조사요령. pp. 49.
  2. 국립산림과학원. 2004. IPCC 우수실행 지침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 pp. 423.
  3. 국립산림과학원. 2008.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지침서 Version1.2. pp. 59.
  4. 산림청. 2005.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산림자원조사체계 개편 연구(4차). pp. 290.
  5. 산림청. 2007. 임업통계연보. pp. 485.
  6. 산림청. 2009. 재적중량표 및 임분수확표. pp. 271.
  7. 신만용, 이규성, 노대균, 공지수. 2002.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새로운 산림자원조사의 방향. 한국산림자원측정학회지 5(2): 10-20.
  8. 신만용, 한원성. 2006.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적합한 표본조사 방법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5(3): 370-377.
  9. 채영암, 구자옥, 서헉수, 이영만. 1987. 기초 생물통계학. 향문사. pp. 418.
  10. 한원성. 2004.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산림자원통계 산출방법의 개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4.
  11. 한원성, 조구현, 오재헌, 송태영, 김재원, 신만용. 2009. 체인톱을 이용한 잣나무의 벌도작업 공정 분석. 한국임학회지 98(4): 451-457.
  12. Ghosh, S. and Innes, J.L. 1996. Comparing sampling strategies in forest monitoring program.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2: 231-238. https://doi.org/10.1016/0378-1127(95)03674-1
  13. Kleinn, C. 1994.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line sampling to other forms of cluster sampling.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68: 365-373. https://doi.org/10.1016/0378-1127(94)90057-4
  14. Magnussen, S., Boundewyn, P.I., Wulder, M. and Seemann, D. 2000. Predictions of forest inventory cover type proportions using Landsat TM. Silva Fennica 34(4): 351-370.
  15. Tokola, T. and Shrestha, S.M. 1999. Comparison of cluster- sampling techniques for forest inventory in southern Nepa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6: 219-231.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457-5
  16. Tomppo, E., Korhonen, K.T., Heikkinen, J. and Hannu, Y. 2001. Multi-Source inventory of the Forests of the Hebei Forestry Bureau, Heilongjiang, China. Silva Fennica 35(3): 309-327.
  17. Yim, J.S., Kleinn, C., Kim, S.H., Jung, J.H. and Shin, M.Y. 2009. A comparison of systematic sampling designs for forest inventor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2): 133-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