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Aboveground Carbon Storage for Zelkova serrata Artificial Forests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광릉시험림 내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인공림의 생장특성 및 지상부 탄소저장량 분석

  • Kim, Hyun-Seop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Bae, Sang-Wo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ang-Tae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Jae-Hong (Div. of Forest Tree Improv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현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배상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황재홍 (국립산림과학원 자원육성과)
  • Received : 2010.02.09
  • Accepted : 2010.03.0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aboveground carbon storage for old growth Zelkova serrata artificial forests (site1: age class IX, site2: age class VIII)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The trees were classified by crown classes for analyzing forest stand structu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nalized through ringwidth increment by crown classes and stem analysis of dominant trees. There were a wide range of DBH (site1: 8~62 cm, site2: 14~40 cm) and height (site1: 8~26 m, site2: 12~26 m) distributions and revealed different growth characteristics by crown classes in both sites. The mean annual increment (MAI) of ringwidth for the last 5 years of dominant trees for site1 (3.3 mm) was higher than MAI of ringwidth of total growth period (2.3 mm) and MAI of ringwidth for the last 5 years of dominant trees for site2 (2.2 mm) was equal to MAI of ringwidth of total growth period (2.2 mm). Also, the growth increment of ringwidth by crown class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tree and the others crown classes (p<0.01) in both sites. As a results of stem analysis of dominant trees in both sites, there were similar to their volume between site1 (1.106 $m^3$) and site2 (1.035 $m^3$). In spite of old age, the annual increment of volume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until recent year. Meanwhile, total aboveground carbon storage of site1 (65.6 Mg C $ha^{-1}$) was higher than that of site2 (56.1 Mg C $ha^{-1}$). The proportion of dominant and co-dominant trees to total aboveground carbon storage was more than 90% and the greatest individual aboveground carbon storage by crown classes was dominant tree in all both sites. However, individual aboveground carbon storage of dominant tree in site1 had 0.054 Mg C $tree^{-1}$ more than site2 owing to the differences from average DBH of dominant trees by sites. We think tha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forest practice for Zelkova serrata artificial forests as a basic information.

본 연구는 경기도 광릉시험림에 위치한 노령 느티나무 인공림의 생장특성과 지상부 탄소저쟝량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조사지1:IX영급, 조사지2:VIII영급). 임분구조분석을 위해 수형급을 구분하였고, 수형급별 연륜생장과 우세목의 수간석해를 통해 생장특성을 파악하였다. 직경급은 조사지1에서 8~62 cm, 조사지2에서 14~40 cm의 분포범위를 보였고 수고급은 조사지1에서 8~26 m, 조사지2에서 12~26 m의 분포범위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수형급간 생장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 중 조사지1의 우세목은 최근 5년간 평균 연륜생장량(3.3 mm)이 생장기간 전체의 평균 연륜생장량(2.3 mm)보다 높았고, 조사지2의 우세목은 최근 5년간 평균 연륜생장량(2.2 mm)과 생장기간 전체의 평균 연륜생장량(2.2 mm)이 같았다. 또한, 2개 조사지 모두 우세목과 타 수형급간 연륜생장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 우세목의 수간석해 결과, 단재적이 2개 조사지에서 각각 1.106 $m^3$와 1.035 $m^3$으로 나타나 유사하였으며, 2개 조사지 모두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도 연간재적생장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총탄소저장량은 조사지1에서 65.6 Mg C $ha^{-1}$, 조사지2에서 56.1 Mg C $ha^{-1}$로 나타나 조사지1이 더 많았고, 총탄소저장량에 대한 우세목과 준우세목의 비율이 2개 조사지 모두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개체목의 탄소저장량은 2개 조사지 모두 우세목이 가장 많았으나, 우세목의 평균흉고직경 차이로 인해 조사지1의 우세목이 0.054 Mg C $tree^{-1}$정도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느티나무인공림의 시업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덕. 1992. 삼림측정학. 향문사. pp. 281.
  2. 김남춘, 최준수, 문석기. 1988. 주요조경수목의 크기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6(1): 27-35.
  3. 김도균, 장병문, 김용식. 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솔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8(4): 9-20.
  4. 김도균. 2006. 광양만 임해 매립지 느티나무 이식 이후의 연륜생장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3(6): 40-50.
  5. 김성덕, 김윤동. 1995. 점봉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her)림의 갱신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4): 447-455.
  6. 김춘식, 정진현. 2001. 경기도 양평 리기다소나무임분의 지상부 탄소저장량 변화. 한국임학회지 90(6): 774-780.
  7. 김현정,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 2007. 서울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느티나무(Zelkova serrata)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27-140
  8. 박관수. 1999. 충주지역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및 토양 중 탄소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8(1): 93-100.
  9. 박봉주, 윤용한, 김원태, 이원호. 2007. 충주시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60-71.
  10. 박인협, 이돈구, 이경준, 문광선. 1996. 참나무류의 성장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I). 한국임학회지 85(1): 76-83.
  11. 변우혁, 이우균, 윤광배. 1990. 수간석해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생장량 계산방법의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1): 1-15.
  12. 산림청. 2000a. 산림과 임업기술(II) 산림조성. pp. 509.
  13. 산림청. 2000b. 산림과 임업기술(III) 산림경영. pp. 755.
  14. 산림청. 2008. 제5차 산림기본계획. pp. 198.
  15.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제39호. pp. 496.
  16. 송칠영, 장관순, 박관수, 이승우. 1997.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의 탄소 고정량 분석. 한국임학회지 86(1): 35-45.
  17. 신만용, 이승만, 이돈구. 2005. 천연활엽수림의 입지유형별 생장 및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산림관리. 한국임학회지 94(1): 26-33.
  18. 이돈구, 권기철, 김영수, 엄태원. 2006. 강원도 중왕산 지역 다릅나무 임분의 입지 환경과 생장 특성. 한국임학회지 95(4): 443-452.
  19. 이 선, 배상원. 2005. 창덕궁 노거수의 수령 측정 및 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19-35.
  20. 이준학, 이우균, 서정호. 2001. Windows용 수간석해 프로그램(Stemwin 1.0)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0(3): 331-337.
  21. 이창복. 1986. 수목학. 향문사. pp. 331.
  22. 임경빈. 1994. 임학개론. 향문사. pp. 349.
  23. 임업연구원. 2002. 표준임업시험실시요령. pp. 692.
  24. 임업연구원. 2003. 광릉시험림 90년사. pp. 811.
  25. 조현길, 안태원. 2000.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 175-182.
  26. 최정기, 유병오. 2006. 천연활엽수림내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직경생장 특성. 한국임학회지 95(1): 131-138.
  27. 하태주, 방광자. 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경상도 천연기념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100-107.
  28. 황재홍, 배상원, 이경재, 이광수, 김현섭. 2008. 간벌이 잣나무 조림지 지상부 탄소저장량에 미치는 초기 영향. 한국임학회지 97(6): 605-610.
  29. Avery, T.E. and Burkhart, H.E. 2002. Forest Measurement. 5th. ed. McGraw-Hill. New York. pp. 456.
  30. Chiang, J.-M., McEwan, R.W., Yaussy, D.A. and Brown, K.J. 2008. The effects of prescribed fire and silvicultural thinning on the aboveground carbon stock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overstory trees in an oak-hickory ecosystem in southern Ohio.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1584-1594. https://doi.org/10.1016/j.foreco.2007.11.016
  31. Cole, W.G. and Lorimer, C.G. 1994. Predicting tree growth from crown variable in managed northern hardwood stan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67: 159-175. https://doi.org/10.1016/0378-1127(94)90014-0
  32. Davis, M.R., Allen, R.B. and Clinton, P.W. 2003. Carbon storage along a stand development sequence in a New Zealand Nothofagus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7: 313-321. https://doi.org/10.1016/S0378-1127(02)00333-X
  33. Smith, D.M., Larson, B.C., Kelty, M.J. and Ashton, P.M.S. 1997.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9th ed. Wiley & Sons, New York. pp. 560.
  34. Ter-Mikaelian, M.T. and Korzukhin, M.D. 1997. Biomass equations for sixty-five North American tree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7: 1-24. https://doi.org/10.1016/S0378-1127(97)00019-4
  35. Yoshida, T. and Kamitani, T. 1997. The stand dynamics of a mixed coppice forest of shade-tolerant and intermediate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5: 35-43. https://doi.org/10.1016/S0378-1127(97)000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