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olicies and Actions Associated with Promo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

산림공익기능 증진 관련 정책 및 조치에 관한 연구

  • Choi, Soo-Im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oo, Rin-Won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i-Dong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ae-Sung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eon, Hyon-Sun (Division of Research Cooperation, Korea Forest Resource Institute) ;
  • Kim, Jae-J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Utilization, Korea Forest Resource Institute) ;
  • Park, Dong-Kyun (Departmen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수임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주린원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김기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김재성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 전현선 (국립산림과학원 대외협력과) ;
  • 김재준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
  • 박동균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Received : 2009.12.04
  • Accepted : 2010.01.07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For policies and actions associated promo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 in Korea, various polices have been progressed based on newly established ordinances along with full progresses of subdivision of the Forest Law since reorganization of regulatory system by functions focused on the Basic Forestry Act. In these policies, water resource conserving function and national land conserving function which have little close relation to the people's daily life including formation of forest for conservation of water supply and erosion control have continued to be promoted since 1970s. Especially in recently years, the policy of biodiversity conserving function according to importance of health and recreation func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 and animal and plant are being promoted actively. Among them, the health and recreation functions is featured for various policies to be promoted in spite of small budget for responding actively to various forest recreation demands after settlement of 5-day workweek system. It seems because the health and recreation function could obtain visible results of governmental investment and high responses from the peoples as a function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s daily life.

우리나라 산림공익기능 증진 관련 정책 및 조치는 2001년 산림법 체계에서 산림기본법 중심의 기능별 법체계 개편 이후 산림법의 분법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새롭게 제정된 법령에 근거하여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에는 1970년대부터 수원함양림조성, 사방사업 등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크게 밀접하지 않은 수자원 보전기능과 국토보전유지기능이 중요한 산림공익기능 증진 정책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보건휴양기능, 산림생태계와 동 식물 보전관리의 중요성에 따른 생물다양성보전기능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중 보건휴양기능은 주 5일제의 정착 이후 다양한 산림휴양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예산규모는 적지만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보건휴양기능이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기능으로서 짧은 기간에 정부투자의 가시적인 성과와 국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준, 조승국, 한상용. 2002. 한려해상 국립공원 보존의 경제적 가치. 경제학연구 50(2): 85-104.
  2. 곽승준, 유승훈, 한상용. 2003. 수도권 도시림 보존의 경제적 편익추정. 자원환경경제연구 12(1): 1-27.
  3. 김연수. 1994. 서울시 도시림의 휴양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용하, 김세빈. 2008. 신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에 대한 태도변화 연구 -한국 산림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7(3): 237-248.
  5. 국립산림과학원. 2005.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보고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5-07, pp. 244.
  6. 국립산림과학원. 2007.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05, pp. 354.
  7. 법제처. 2008. 종합법령정보센터 Online(http://www.klaw. go.kr)
  8. 산림청. 1997. 한국임정50년사. pp. 1011.
  9. 산림청. 2003a. 제4차 산림기본계획 변경. pp. 210.
  10. 산림청. 2006. 2006년도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pp. 616.
  11. 산림청. 2007a. 산림관계법령집. pp. 1046.
  12. 산림청. 2008a. 제5차 산림기본계획 2008-2017. pp. 196.
  13. 산림청. 2008b. 2008년도 예산내역서. pp. 880.
  14. 산림청. 2008c. 2008년도 주요업무 세부추진계획. pp. 338.
  15. 산림청. 2008d. 직제 및 조직관련 규정. pp. 398.
  16. 산림청. 2008e. Online(http://www.forest.go.kr)
  17. 신준환. 1995.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전략. 한국임학회 84(3): 377-393.
  18. 이도원. 2001. 경관생태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35.
  19. 이주희, 한상열. 2003. 여행비용법에 의한 가야산 국립 공원의 휴양수요. 한국산림휴양연구 7(1): 35-40.
  20. 이창재. 1994. 수원함양림의 가치평가 및 비용분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임업연구원. 1991. 산림의 공익적 기능의 계량화 연구. pp. 188.
  22. 임업연구원. 1992. 산림의 공익적 기능의 계량화 연구 (II). pp. 162.
  23. 임업연구원. 1993. 산림의 공익적 기능의 계량화 연구 (III). pp. 186.
  24. 우보명 외 18명. 1997. 산림공학. 광일문화사: 74-92.
  25. 윤여창. 1982. 산림휴양의 수요와 편익에 관한 연구 -덕유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윤여창, 김남균, 박동균, 윤주옥, 이강오, 차준희, 한기주, 김인애, 권오상, 김원희, 윤태연. 2003. 임업의 공익적 기능 평가방법 개발 및 내부화 방안 연구. 농림부. pp. 363.
  27. 전현선. 1996. 임의가치평가법에 의한 수렵의 가치평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 한국경관생태연구회. 2001. 경관생태학. 도서출판 동화기술: 3-19.
  29. 환경부. 2007. 2007 환경백서. pp. 831.
  30. 환경부. 2008. Online (http://www.me.go.kr)
  31. 木平勇吉. 2005. 森林の機能と評價. 日本林業調査會: 17-41.
  32. 日本學術會議. 2001. 地球環境.人間生活にかかわる農業 及び森林の多面的な機能の評價について. pp. 112.
  33. 森林景觀硏究會. 2006. 森林景計劃ガイドブック. 森林總 合硏究所: 105-122.
  34. 北海道. 2004. 森林機能評價基準. pp. 42.
  35. Forestry Commission. 2003.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s in Great Britain.
  36. Forestry Commission. 2004.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