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Visits of Seoul Metropolitan Citizens to Forests: Focusing on the Visitors of Mt. Bukhan, Mt. Gwanak, Mt. Surak, and Mt. Dobong

수도권 거주자의 산림 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 북한산, 관악산, 수락산, 도봉산 방문객을 중심으로

  • 박정열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 김태희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 김성윤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 박동균 (국립산림과학원) ;
  • 이희찬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 Received : 2009.10.08
  • Accepted : 2010.03.25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rive political suggestion to increase the demand for forest visit by analyzing the demand of forest visitors,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Seoul and capital areas. The determinants of demand, which is the number of forest visit in a year,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variables; six factors from factor analysis on selective attribut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the general matters when visiting a forest. As a resul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ective attribute (tourism resource factor), gender (male), and residency (Seoul) were foun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demand for forest visit. However, other selective attribute (external factor of forestry), occupation (white-collar employee), and level of education (over college graduate) were found out to have negative(-) effect on demand for forest visi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demand for forest visits were derived.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산림방문수요를 분석하여 산림방문수요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선택속성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총 6개의 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산림 이용과 관련된 일반적 사항 등의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지난 1년간 산림 방문횟수에 대한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산림방문수요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 중에서 관광자원요인, 인구통계적 변수들 중에서는 남성, 서울 거주자일수록, 산림이용과 관련된 변수들 중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림방문수요에 부(負)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요인 중에서 산림외적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중 화이트컬러 직업군 종사자, 대졸이상 학력자인 경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방문 수요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서, 김계수. 2009. SPSS 17.0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출판사. p.315.
  2. 관악구청 홈페이지. http://www.gwanak.go.kr
  3. 김문겸. 2002. "국민 여가문화의 변화전망", 국토: planning and policy, 제243권, pp.6-11.
  4. 김인정. 2008. "자연휴양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제주 지역 내 자연휴양림 2개소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태진, 안성로, 변우혁. 1993. "자연휴양림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3): 3051-3064.
  6. 김태희. 2009. "산림의 이용가치 측정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도봉산 관광 홈페이지 참조. http://mountain.dobong.go.kr
  8. 두산동아 백과사전 참조. http://100.naver.com/mountain
  9. 박정열, 이희찬, 안윤영. 2009. "온천수요의 결정요인 및 시장세분화에 대한 연구-동래온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8(3): 211-232.
  10. 북한산 국립공원 홈페이지. http://bukhan.knps.or.kr
  11. 산림청. 2006.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12. 소국섭, 이희찬. 2007. "절단된 포아송(TP)모형을 활용한 골프수요 영향요인 연구". 관광학연구 31(2): 9-27.
  13. 양윤정. 2003. "생태관광지로서의 자연휴양림에 관한 활성화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윤여창, 윤영일. 1996. "산림휴양수요의 예측 - 10개 산악형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4(2): 29-36.
  15. 이주희, 한상열. 2003a. "여행비용접근법에 의한 가야산 국립공원의 휴양수요와 편익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1): 35-40.
  16. 이주희, 한상열. 2003b. "국립공원 휴양수요의 계절변동에 의한 분류: 시계열분해법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92(3): 199-207.
  17. 이주희, 한상열. 2004. "중력모형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 공원의 수요모형 개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1): 45-49.
  18. 이희찬. 2004. "농촌관광 참여 및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농업경제연구 45(4): 53-78.
  19. 이희찬, 한진영. 2004. "전시관람수요의 결정요인: 절단된 가산자료모형의 이용", 관광학연구 28(3): 307-326.
  20. 정일휘. 1997. "국립공원 북한산 매력속성에 대한 탐방자의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통계청. 2008.
  22. 하경량. 2002. "자연휴양림의 성격과 형성과정",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1): 105-119.
  23. 한상열. 2005a. "자연휴양림 수요탄력성의 정책적 합의",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3): 39-45.
  24. 한상열. 2005b.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한 국립공원 경쟁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4): 53-59.
  25. 한상열. 2006. "국립공원 탐방수요모형의 개발: 시간거리를 이용한 중력모형의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1): 13-19.
  26. 한은진. 2009. "와인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절단된 포아송 모형의 적용". 한국외식영영학회 12(1): 59-79.
  27. Cameron, A.C. and Trivedy, P.K. 1998.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Creel, M. and Loomis, J. 1990.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tages of truncated count data estimators for analysis of deer hunting in California. American Journal of Agricaultural Economics. 72: 434-441. https://doi.org/10.2307/1242345
  29. Fix, P., Loomis, J. and Eichhorn, R. 2000. Endogenously chosen travel costs and the travel cost model: An application to mountain biking at Moab, Utah. Applies Economics 32(10): 1227-1238. https://doi.org/10.1080/000368400404371
  30. Green, W.H. 1993. Econometric Analysi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31. Grogger, J.T. and Carson, R.T. 1987. Models for Count from Choice Based Sapl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32. Gurmu, S. and Trivedi, P. 1996. Excess zeros in count models for recreational trips.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14(4): 469-477. https://doi.org/10.2307/1392255
  33. Karlaftis, M. and Tarko, A. 1998. Heterogeneity considerations in accident modeling.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4): 425-433.
  34. Nunnally, J.C. 1978.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Y.
  35. Okoruwa, A., Terza, J., and Nourse, H. 1988. Estimating patronization shares for urban retail centers: An extension of the Poisson gravity model. Journal of Urban Economics 24: 241-259. https://doi.org/10.1016/0094-1190(88)90027-7
  36. Shaw, D.G. 1988. On-site samples' regression: Problems of non-negative integers, truncation, and endogenous stratification. Journal of Econometrics 37(2): 211-223. https://doi.org/10.1016/0304-4076(88)90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