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Prepared Tooth for full Veneer Crowns

전부 피개관의 치아 형성 시 축면 경사각에 대한 조사

  • Kim, Sung-Ji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
  • Pae, Ah-Ra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
  • Woo, Yi-Hyung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
  • Kim, Hyeong-Seob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Kyung-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 김성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 배아란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 우이형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 김형섭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Received : 2010.01.12
  • Accepted : 2010.03.2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convergence angle of a prepared toot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retention and resistance of a crown restoration. But various intraoral environments and clinician's techniques make it difficult to obtain the ideal inclin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a prepared tooth was investigat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tient models of prosthodontic residents and the patient models of general practitioners. The images of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surfaces were taken with a digital camera to evaluate the convergence angle on 'ImageJ' program. The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1. Clinician group, 2. Position in the dental arch, 3. The purpose of abutment preparation)and then analyzed. The mean convergence angle of a prepared tooth for Korean clinicians was $15.02^{\circ}$ (${\pm}10.13^{\circ}$). 1. It was significant in the convergence angle between the general practitioner group and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p<0.05). 2. I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surface in the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p<0.05). 3. For the general practitioner group, it was significant when anteriors and premolars were compared with molars(p<0.05). For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 it was significant when anteriors and premolars were compared with molars (p<0.05). 4. Whe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rches, for the general practitioner group,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uccolingual aspect(p<0.05). Also in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uccolingual aspect(p<0.05). 5. Divid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ch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practitioner group and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p>0.05). 6. In the general practitioner group, it was significant in the mesiodistal axial convergence angle of single crown abutment and 3 unit bridge abutment(p<0.05). In the prosthodontic resident group, it was significant in the mesiodistal and overall axial convergence angle of single crown abutment and 3 unit bridge abutment(p<0.05). 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prepared tooth in Korea was included in agreement with other studies investigating convergence angle that ranged from 10 to 22 degrees, achieved in clinical practice.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는 치관 수복물의 유지와 저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다양한 구강 내 환경과 술자의 능력에 따라 이상적인 경사도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와 실제 임상에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실험의 연구 자료는 K대학 부속 치과병원 중앙 기공실을 통하여 보철과 전공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과 일반 기공소를 통해 일반 개업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을 수집한다. 연구 방법은 각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면을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뒤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치아의 삭제 각도를 측정 한 뒤 항목별( 1. 술자 집단별 분류,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류,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류 )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국내 임상가의 지대치 형성시 축면 경사각의 평균은 $15.02^{\circ}$ 표준 편차는 ${\pm}10.13^{\circ}$였다. 1. 술자 집단별 분류에 대한 분석 일반 치과의 집단의 측면 경사각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축면 경사각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석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측면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치아의 전후적인 위치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상악과 하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도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악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석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와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5) 협설측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협설측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에서 임상에서 치아 삭제시 이상적인 축면 경사각을 얻기 힘들며 이는 술자의 경험과 악궁 내에서의 위치, 삭제 양식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Prothero JH : Prosthetic Dentistry. Medico-Dental Publishing Co.1923:1128.
  2. Jorgensen DK : The relationship between retention and convergence angle in cemented veneer crowns. Acta Odontol Scand 1955;13:35. https://doi.org/10.3109/00016355509028171
  3. Kaufman EG, Coelho DH, Colin J :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of cemented gold castings. J Prosthet Dent 1961;11:487. https://doi.org/10.1016/0022-3913(61)90232-3
  4. Shillingburg HT Jr, Hobo S, Whitsett LD, Jacobi R, Brackett SE : Fundamental of Fixed Prosthodontics. Quintessence Publishing Co. 1997:120-152.
  5. Chan DCN, Wilson AH Jr, Barbe P, Cronin R. J. Jr, Chung C : Effect of preparation convergence on retention and seating discrepancy of complete veneer crowns. J Oral Rehabil 2004;31:1012.
  6. Ohm E, Silness J : The convergence angle in teeth prepared for artificial crowns. J Oral Rehabil 1978;5:371-375. https://doi.org/10.1111/j.1365-2842.1978.tb01256.x
  7. Annerstedt A, Engstrom U, Hansson A, et al : Axial wall convergence of full veneer crown preparation. Documented for dental students and general practitioners. Acta Odontol Scand 1996;54:109-112. https://doi.org/10.3109/00016359609006014
  8. Leempoel PJB, Lemmens PhLM, Snolk PA, Van't Hof MA : The convergence angle of tooth preparations for complete crowns. J Prosthet Dent 1987;58:414-6. https://doi.org/10.1016/0022-3913(87)90265-4
  9. Nordlander J, Weir D, Stoffer W, Ochi S : The taper of clinical preparations for fixed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1988;60:148-151. https://doi.org/10.1016/0022-3913(88)90304-6
  10. Mack PJ : A theoretical and clinical investigation into the taper achieved on crown and inlay preparations. J Oral Rehabil 1980;7:255 https://doi.org/10.1111/j.1365-2842.1980.tb00443.x
  11. Goodacre CJ, Campagni WV, Aquilino SA : Tooth preparations for complete crowns: An art form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J Prosthet Dent 2001;85:364-367.
  12. Kent WA, Shillingburg HT Jr, Duncanson MG Jr : Taper of clinical preparations for cast restorations. Quintessence Int 1988;19:339.
  13. Dodge WW, Weed RM, Baez RJ : The effect of convergence angle on retention and resistance form. Quintessence Int 1985;3:191-194.
  14. Smith CT, Gary JJ, Conkin JE : Effective taper criterion for the full veneer crown preparation in preclinical prosthodontics. J Prosthod 1999;8:196-200. https://doi.org/10.1111/j.1532-849X.1999.tb00035.x
  15. Parker MH, Calverley MJ, Gardner FM, Gunderson RB : New guidelines for preparation taper. J Prosthod 1993;2:61-66. https://doi.org/10.1111/j.1532-849X.1993.tb00383.x
  16. Paresh PB, Wildgoose DG, Winstanley RB : Comparison of convergence angles achieved in posterior teeth prepared for full veneer crowns Eur J Prosthodont Rest Dent 2005;13:101.
  17. Ayad MF, Maghrabi AA, Rosenstiel SF : Assessment of convergence angles of tooth preparations for complete crowns among dental students : J Dent 2005;33:635.
  18. Kong SH, Woo YH : Accidental Damage to Teeth Adjacent to Prepared Tooth, 2004. M.S.D. 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