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Analysis of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중형카메라 RCD105 정확도 분석

  • 김태훈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원재호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충평 ((주)범아엔지니어링 국토정보시스템연구소) ;
  • 소재경 ((주)범아엔지니어링 국토정보시스템연구소) ;
  • 윤희천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7.15
  • Accepted : 2010.08.27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Lately, airborne digital camera and airborne laser scanner in field of airborne surveying are used to build geography information such as digital ortho photo map and DEM(Digital Elevation Model). In this study, 3D position accuracy is compared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with airborne digital camera DMC. For this, test area was decided for aerial photograph. And using 1/1,000 scale digital map, ground control points were selected for aerial triangulation and check points were selected for horizontal/vertical accuracy analysis using softcopy stereoplotter. Accuracy of RCD105 and DMC was estimated by result of aerial triangulation and result of check points measurement of using softcopy stereoplotter. In result of aerial triangulation, RMSE(Root Mean Square Error) X, Y, Z of RCD105 is 2.1, 2.2, 1.3 times larger than DMC. In result of check point measurement using softcopy stereoplotter, horizontal/ vertical RMSE of RCD105 is 2.5, 4.3 times larger than DMC. Even though accuracy of RCD105 is lower than DMC, it is maybe possible to make digital map and ortho photo using RCD105.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공디지털카메라 및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수치정사영상지도 및 수치표고모델제작 등의 지리정보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인 ALS50-II에 구성된 중형CCD카메라 RCD105의 3차원 위치정확도를 디지털항공사진카메라인 DMC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축적 1:1,000 수치지형도에서 항공삼각측량에 사용할 지상기준점과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평면 및 수준정확도 검증에 사용할 검사점을 선점하였다. RCD105와 DMC의 정확도는 항공삼각측량의 결과와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과 동일한 지점을 관측한 결과로 평가하였다. 항공삼각측량 결과 RCD105의 X, Y, Z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DMC보다 각각 2.1배, 2.2배, 1.3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을 관측한 결과 RCD105의 평면 및 수직방향 RMSE가 DMC보다 각각 2.5배, 4.3배 크게 나타났다. RCD105의 정확도가 DMC보다는 떨어지지만, RCD105도 수치지형도 및 정사사진 제작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09), 항공사진측량작업규정 개정,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09-848호.
  2. 한승희, 배연성, 배상호 (2003), 알기쉬운사진측량학개론, 보문당, pp. 79-94.
  3. 한국건설기술평가원 (2007), 대축척지도제작용 디지털 카메라 실용화 방안 최종보고서, 연구보고서, pp. 68-78, 105-118, 141-149.
  4. Gordon Petrie and Stewart Walker (2006), Airborne Digital Imagers : An Overview & Analysis, ISPRS Commission I Symposium Working Group 1/4, ENSG, Marne-La-Vallee, Fance, 4 July 2006.
  5. Paul R. Wolf and Bon A.Dewitt (2000), Elements of Photogrammetry with Applications in GIS,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p. 52-80, 366-403.
  6. Wilfried Linder (2006), Digital Photogrammetry, Springer, pp. 7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