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Chinese Women's Experiences about Family Separation

한국 내 조선족 여성의 분거가족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이율이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Received : 2010.05.14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Korean-Chinese women's experiences of family separation. A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4 Korean-Chinese women who lived away from their families in China. Korean-Chinese women showed the child-centered family values. The main reason of family separation was to provide children of bet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Korean-Chinese women, their husbands, and their extended family members worked as a team to support children. Their cohesive family relationships reflected the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n-Chinese society. Family separation seems to be normalized for the purpose of child education. The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how family values affect family life style.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화(2002). 중국 조선족 가족의 변화와 문제점. 한국여성연구원 여성학 특강 자료.
  2. 권태환 . 박광성(2004). 중국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61-89.
  3. 김성걸(2000). 중국 조선족 현상태 분석 및 전망연구.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4. 김정란 . 김경신(2009). 가족기능과 가족주의 가치관이 대학생의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33-149.
  5. 라춘봉(2004). 흑룡강성 조선족교육의 문제 및 해결책-노무와 자녀교육문제에 대한 조사와 사고-. 최성학 외 11인 (저), 21세기 초 조선족 교육의 문제 및 개혁연구(pp79-89). 한국교육개발원.
  6. 리철민 . 리홍길(2004). 단친무친학생 교육지남. 연변, 중국:연변교육출판사.
  7. 박명희(2008). 경제체제개혁하의 중국조선족 여성의 사회적 지위변화. 新亞細亞15(4), 40-63.
  8. 박정희 . 류혜순(2004). 연변 조선족 사회 결손가정 현상과 자녀교육문제 연구. 최성학 외 11인 (저), 21세기 초 조선족 교육의 문제 및 개혁연구(pp72-78). 한국교육개발원.
  9. 법무부(2010). 출입국 .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09년 12월호. http://www.immigration.go.kr/HP/TIMM/imm_06/imm_2009_12.jsp.
  10.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근본사상과 정착과정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127-152.
  11. 안병삼(2009). 초국가적 이동현상에 따른 중국 조선족의 가족해체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52, 153-176.
  12. 오상순(2000). 개혁개방과 중국 조선족 녀성들의 의식변화, 민족과 문화, 9권, 81-117.
  13. 윤갑정 . 정계숙(2007a). 중국 조선족 별거가족과 동거가족유아의 양육환경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375-402.
  14. 윤갑정 . 정계숙(2007b). 중국 연변 조선족 별거가족과 동거가족 유아의 가족생활 경험. 아동학회지, 28(4), 169-185.
  15. 윤갑정 . 고은경 . 정계숙(2008). 중국 연변 조선족 유아 양육실제에 나타난 시대성과 민족성 이슈. 아동학회지, 29(5), 31-50.
  16. 이선미(2004). 중국 조선족 여성의 가정복지 실태 조사. 한국동북아논총, 30, 103-126.
  17. 이진영 . 박우(2009). 재한 중국조선족 노동자집단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51, 99-119.
  18. 이해웅(2005).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여성학논집, 22(2), 107-143.
  19. 이현정(2000). 한국취업과 중국 조선족의 사회문화적 변화: 민족지적 연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전형권(2006). 모국의 신화, 노동력의 이동, 그리고 이탈: 조선족의 경험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해석. 한국동북아논총 38, 135-158.
  21. 조복희 . 이주연(2005). 부모와 별거하는 중국 조선족 아동의 생활환경과 정응문제. 아동학회지, 26(4), 231-245.
  22. 조복희 . 이주연(2006). 부모와 별거하는 중국 조선족 아동의 양육자에 대한 애착과 적응문제. 2005, 27(4), 247-263.
  23. 채미화(2004). 연변 조선족 초중등학교 교육문제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최성학 외 11인 (저), 21세기 초 조선족 교육의 문제 및 개혁연구(pp70-71). 한국교육개발원.
  24. 채영국 . 박민영 . 장석용 . 김태국 . 염인호 . 김춘선(2004). 연변 조선족의 과거와 현재(pp223-270).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25. 천영희 . 정계숙 . 옥경희 . 황혜정 . 최성학(2006). 부모별거 초등학생 별거 경험 및 양육요인에 따른 사회 . 정서적 적응력 연구. 아동학회지, 27(2), 101-126.
  26. 초의수 . 최계숙(2008). 연변 조선족의 가족주의와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3), 29-50.
  27. Amold, E.(1997). Issues of reunification of migrant West Indian children in the United Kingdom. In J. L. Roopnarine & J. Brown(Eds.), Caribbean families : Diversity among ethnic groups(pp. 243-258). Greenwich, CT : Ablex.
  28. Gittins, D.(1995). 가족은 없다: 가족 이데올로기의 해부(안호룡 외 옮김, 1997). 서울: 일신사.
  29. Suarez-Orozco,C., Todorova, I. L. G., & Louie, J.M.C.P(2002). Making up for lost time: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among immigrant families. Family process, 41, 625-643.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0062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