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의 영향

The Effect of Meniscectomy on Clinical Result After ACL Reconstruction

  • 조형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정환 (인천의료원) ;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송상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윤경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Cho, Hyung-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ung-Hwan (Incheon Medical Center) ;
  • Bae, Dae-Ky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ong, Sang-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oon, Kyou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2010.02.28

초록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시행하는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이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에서 2007년 2월까지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를 시행한 455례 중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9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 시행한 군은 45례,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은 48례였고, grade 3이상의 연골 손상,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과 부분 절제술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군(I군)은 45명, 외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군)은 10명,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I군)은 28명,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을 동시에 절제한 경우(IV군)는 10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로 IKDC 주관적 점수, Lysholm 점수를 비교하였고, 슬관절 관절운동 범위,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슬관절의 기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IV군은 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와 Lysholm 점수가 낮았으며, I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가 낮았다. KT-1000 관절계는 I군이 IV군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전방전위검사와 Lachman 검사는 I군이 III군보다 더 향상되었다. Pivot shift 검사에서는 모든 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내측 또는 내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KT-1000 관절계에서 불안정성과 관계가 있었으며,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반월상 연골판이 정상인 경우보다 더 낮은 임상적 점수와 관계가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tal or subtotal meniscectomy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455 cases of arthroscopic ACL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from February, 2003 to February, 2007 and followed-up more than 1 year. The 93 cases were enrolled. The 45 cases who underwent only ACLR were included and the 48 cases who underwent ACLR with total or subtotal meniscectom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xcept grade 3 or 4 chondral lesion, partial meniscetomy or meniscal repair. We divided the patient into 4 groups which were isolated ACLR group (group I, 45cases), ACLR with lateral meniscectomy group (group II, 10cases), ACLR with medial meniscectomy group (group III, 28cases) and ACLR with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ectomy group (group IV, 10case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range of motion (ROM), IKDC subjective score, Lysholm score,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Results: At final follow up, group IV was inferior than group I in IKDC subjective score and Lysholm score, and inferior than group II in IKDC subjective score. In KT-1000 arhtometric test, group I had better results than group III and group IV. Also in anterior drawer test and Lachman test, group 1 had better result than group III and group IV. In pivot shift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groups. Conclusion: Medial or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ectomy had greater laxity in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and KT-1000 arthrometric test and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ectomy had a lower subjective score than both meniscus intact gro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