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reach and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Experience

언어와 경험: 괴리와 거리

  • Received : 2010.10.03
  • Accepted : 2010.11.12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notion of the language-experience correspondence is ill-grounded, and that the notion of 'literal meaning' based on it accordingly goes nowhere. Drawing on the experientialist view, I observed that language itself is a system of signs, and thus is given meaning only by way of symboliz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tialist account, the meaning of a signifier is given by means of "symbolic mapping." in which a certain portion of experience-content is mapped onto the signifier. And since symbolic mapping is partial by nature, there must come in some breach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experience-content mapped onto it. The partial nature of symbolic mapping repudiates the very notion of correspondence, and accordingly the notion of literal meaning. Rather, meanings are produced by means of the varied distances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mapped experience. In this perspective, the inquiry into the nature and structure of meaning should become part of one into that of symbolic experience. Such an inquiry may not be expected to reach the objectivity of linguistic meaning. Instead, we may be content with the relative stability in communication, which seems to be grounded in the commonality conspicuously observed at the bodily level of human experienc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경험주의적 언어관을 지탱해 왔던 '언어-경험 대응'이라는 가정이 근원적으로 그릇된 것이며, 그 가정에 근거한 문자적 의미 또한 공허한 이론적 가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필자는 체험주의적 시각에 의존해서 언어가 기호의 체계이며, 따라서 그 의미 또한 기호적으로 주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기호적 경험의 구조에 대한 체험주의적 해명에 따르면 기표의 의미는 그것에 기호적으로 사상되는 경험 내용이다. 나아가 기호적 사상이 본성적으로 부분적이라는 것은 기표와 사상되는 경험 내용 사이에 본성적 괴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괴리는 일대일 대응의 원천적 불가능성을 의미하며, 그것은 문자적 의미의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새로운 구도 안에서 언어적 의미에 대한 해명은 기호적 경험에 대한 해명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객관주의가 가정했던 객관성은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언어는 여전히 소통 가능한 정도의 안정성을 드러내며, 우리는 그 안정성의 근거를 신체적이고 물리적인 경험의 공공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