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SC(Small-Scale Chemistry) Lab Program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cience Inquiry Skills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 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6.29
  • Accepted : 2010.08.1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SC(Small-Scale Chemistry) lab program applying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15 the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elected and enrolled i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university. SSC lab program was applied for 3 month with 5 topics. The research design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fic attitude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as improved significantly(p<.01) after applying SSC lab program. 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cores of cooperativity, spontaneity, perseverance, which were the sub-region of scientific attitude. Second, th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p<.01) after applying SSC lab program.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cores of adhesion, which was a sub-region of th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ience inquiry skills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SC lab program in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lasses(p>.05). The results suggest that SSC Lab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i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classes.

이 연구의 목적은 SSC 실험을 과학영재 수업에 적용한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15명의 중학생 과학영재 학생이다. SSC 실험 프로그램은 3개월간 5가지 주제로 적용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였으며 PASW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적 태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 중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적 성격 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창의적 성격 특성의 하위 영역 중 '집착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SSC 실험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연구 결과는 SSC 실험이 과학영재 수업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김범기 (1994). 초 중학생들을 위한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김묘정 (2002). 과학영재 교육센터 중등 물리 교육 과정 분석과 물리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3.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선 (1996). 과학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 - 기초 연구편-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6-27. 한국교육개발원.
  4. 김재권 (2005). 영재아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과제 집착력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 김현경, 김정수, 최병순 (2007). Small-Scale Chemistry(SSC) Program 적용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태도 변화.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63-170.
  6. 김형도 (2005). 고등학교 1학년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창의적 인지력 비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8. 동효관 (2002). 과학영재의 특성에 기초한 수업 프로그램이 유전개념 변화와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류시경, 박종석 (2007).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제발견 능력과 학업 성취도, 과학탐구 능력, 창의적 성격 특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63-271.
  10. 박선옥 (2009).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1. 박종윤, 홍지혜 (2007). 고등학교 화학2 수업에 적용한 Small-Scale Chemistry 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18-327.
  12. 신미영 (2008).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서울대학교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심병주 (2005). 물질지도에서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4. 유미현, 윤희숙, 홍훈기 (2006).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과. 대한화학회지, 50(3). 256-262.
  15. 유미현, 윤희숙, 홍훈기 (2007).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화학I 수업이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5), 433-446.
  16. 유미현 (2008). 과학영재의 사회.정의적 특성과 과학관련 인식 향상을 위한 '과학자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윤경미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8. 윤진녀, 이지화, 문성배 (2007). Small-Scale Science를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중3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1-8.
  19. 윤진녀, 문성배 (2007). Small-Scale Chemistry를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성취도, 파지효과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787-795.
  20. 윤희숙, 유미현 (2007). Small-Scale Chemistry를 적용한 '화학 및 실험'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의 실험 활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6(4), 449-458.
  21. 이경화 (2002). 대학생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특성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 47-68.
  22. 이정희 (2005). 과학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일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3. 임현수 (1998). 창의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4. 정문호 (2008).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 평가기준 개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5. 한기순 (2003). 과학영재.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원,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6. 황요한 (2009).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해 자율성을 강조한 CNP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7. Betts, G. T. (2004). Fostering autonomous learners through levels of differentiation. Roeper Review, 26(4), 190-191. https://doi.org/10.1080/02783190409554269
  28. Bradley, J. D., Durbach, S., Bell, B,. & Mangarulire, J. (1998). Hands-on practical chemistry all-why and ho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5(11), 1406-1409. https://doi.org/10.1021/ed075p1406
  29. Brandwein, P. F. (1988). Science talent: In an ecology of achievement. In P. F. Brandwein, A. H. Passow(Eds). Gifted young in science. Washington, DC: NSTA.
  30. Callahan, C. M., Hunsaker, C. L., Adams, C. M., Moore, S. D., & Bland, L. C. (1995). Instruments used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Report No. RM-95130). NRC/G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46082).
  31. Fowler, M. (1990). Diet cola test. Science Scope, 13(4), 32-34.
  32.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 201-217.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2201
  33.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Macmillan.
  34.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
  35. Thompson, S. (1989). CHEMTRE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6. Waterman, E. L., & Thompson, S. (1995). Small-scale chemistry laboratory manual. Menlo Park, C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7. Watters, J. J., & Diezmann, C. M. (2003). The gifted student in science: Fulfilling potential.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9(3), 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