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ommendation Tools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수학 영재 관찰.추천 도구의 개발과 모의 적용 사례 연구

  • Received : 2010.03.09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gifted students' capacity on mathematics had high correlations with result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develop recommending tools through the assessment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or analyse their applications. Then it is difficult to use them to identif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racticall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tasks and evaluation tables for the tools. And one of them was applied for four students in Grade 1 of a middle school to simulate the assessment and characteristics assessment teachers showed were analysed. As the results, the extensive and specific information on the giftedness of the students was obtained through using the tool. The gifted capacity grasped from the order, speed, and attitudes of problem-solving was identified as observing the process of solving the task.

여러 선행 연구는 관찰평가를 통해 학생의 영재성에 대한 예측력 높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학 영재 판별에 활용될 만한 관찰 추천 도구를 개발하거나 그 적용 상황의 특징 등을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어, 이를 수학 영재 판별에 현실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수학 영재 관찰 추천 도구 개발을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관찰평가 과제와 관찰평가표를 개발한 다음 그 중 일부를 중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모의 적용하여 관찰대상과 관찰평가 교사들이 보이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과제별 평가 항목을 통해 학생의 영재성에 대한 정보를 보다 폭넓고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과제 해결 순서, 속도, 태도 등에서 드러나는 수학 영재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연 (2008).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김보연 (2005). 관찰평가를 통한 초등 과학 영재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추교육대학교.
  3. 김선희, 김기연 (2005). 수학 영재의 심화학습을 위한 다각형의 무게중심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3), 335-352.
  4. 김지원, 송상헌 (2004). 한 수학영재아의 수학적 사고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1), 89-110.
  5. 남승인, 강영란 (1999). 관찰을 통한 수행능력 평가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8(1), 65-76.
  6. 박경희 (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법으로서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10. 유연정 (2008). 수학영재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학생 평가도구 개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1. 이경화 (2003). 수학 영재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3(3), 365-382.
  12. 이미순 (2009). 영재아 판별과 관찰평가: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09 영재교육담당교원 관찰연수 직무교재(청주교육대학교부설과학영재교육원). 55-67.
  13. 전영석, 신영준, 손정우, 배병일, 동효관, 김규상, 신희관, 홍달식 (2001). 한성과학고등학교 중학생 영애 학급의 학생 선발 과정과 결과 분석. 영재교육연구, 11(2), 71-83.
  14. 정병훈 (2009). 관찰평가의 유형과 방법. 2009 영재교육담당교원 관찰연수 직무교재(청주교육대학교부설과학영재교육원). 79-100.
  15. 정종진 (2002). 교육평가의 원리. 교육출판사
  16. 최영기, 도종훈 (2004).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학교수학, 6(4), 361-372.
  17. 최호성 (2003). 중등 영재 판별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영재교육연구, 13(5), 1-28.
  18. 한국교육개발원 (2004). 영재교육대상자 설발에서 고려할 점. http://gifted.kedi.re.kr/Dist/Gifted/Dist02.php(검색일: 2009.11.02.)
  19. 황동주 (2005). 수학 영재 판별의 타당도 향상을 위한 수학 창의성 및 문제 해결력검사 개발과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 홍갑주 (2005). 도형의 무게중심과 관련된 오개념 및 논리적 문제. 학교수학, 7(4), 391-402.
  21. Borland, J. H., & Wright, L.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ly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4), 164-17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402
  22. Chittenden, E. (1991). Authentic assessment, evaluation, and documentation of student performance. In V. Perrone (Ed.). Expanding student assessment (pp. 22-31).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Feldhusen, J. F., Asher, J. W., & Hoover, S. M. (1984). Problem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alent, or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49-151.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402
  24.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children.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Lee, C. S. (1997). The integration of math and science via centroid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4), 200-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7.tb17367.x
  26. Nelson, B. R. (1997). Proof without words I, II. Washington, DC: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7. Movshovitz-Hadar, N., & Webb, J. (1998). One equals zeros. Key Curriculum Press.
  28. Polya, G. (1999).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주) 천재교육. (원본 출간년도: 1956).
  29. Renzulli, J. S. (1982). Myth: The gifted constitute 3-5% of the population. Gifted Child Quarterly, 26(1), 11-14. https://doi.org/10.1177/001698628202600103
  30. Rimm, S. (1984).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Identification and beyond. Gifted Child Quarterly, 28(4), 181-187.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408
  31. Shilgalis, T. W., & Benson, C. T. (2001). Centroid of a polygon-three views. Mathematics Teacher, 94(4), 302-307.
  32. Siegle, D., & Powe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103
  33. Sternberg, R. J. (1982). Lies we live by: Misapplication of tests in identifying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6(4), 157-161. https://doi.org/10.1177/001698628202600402